정부가 쏟아내고 있는 일자리 관련 각종 정책이 일선 기업 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기업인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겠다며 내놓은 '청년내일채움공제' 확대 방안도 청년들의 마음을 돌리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대학생들의 지적이다.
인천 서구에서 27년 정도 중소 제조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생산직 직원들을 구하기가 너무나 어렵다"고 했다.
제조업의 기반을 이루는 용접과 도장, 도금, 판금, 기계, 가공, 조립 분야의 내국인 숙련공을 찾을 길이 없고, 외국인 근로자들은 나이 제한이 있어 '일을 시킬 만하면' 본국으로 돌려보내야 한다. 직원이 없어 수개월째 놀리고 있는 기계도 있다.
정부가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소하겠다며 '워크넷' 등을 통해 온라인 취업정보 제공 활동을 확대하고 있지만, 소개 등 오프라인 취업 방식을 선호하는 생산직 숙련공들의 특성과는 거리가 멀다.
A씨는 '청년내일채움공제' 확대 방안에 대해서도 불만의 목소리를 냈다.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3년 동안 600만원을 내면 정부가 2천400만원을 지원해 3천만 원으로 만들어 주는 게 정책의 핵심인데, 중소기업 신규 채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기존 근로자의 반발이 크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 정책에 따른 불만을 뒤처리해야 하는 건 중소기업 사장들"이라며 "중소기업 근로자가 결혼해서 주택을 구입할 경우 저리 융자나 분양 순위에 가점을 주고, 자녀를 국·공립 유치원에 보낼 때 우선권을 주는 등 지원 방안을 정부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에서 33년째 전자회로기판 제조업체를 경영하는 B씨는 해외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 정부 정책을 어떻게 감당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제조업을 운영할 수 있겠느냐는 생각에 베트남 등 해외로의 기업 이전을 고민하고 있다"며 "이런 고민을 하는 분(다른 기업 사장)들이 많다"고 했다.
인천지역 한 대학 4학년인 C씨는 "공기업을 중심으로 구직 준비를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공기업이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일할 수 있는 곳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정부가 중소기업 대상의 일자리 지원을 늘리고 있는데, 한시적인 지원이라면 중소기업을 꺼리는 청년들의 인식을 바꾸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
청년의 소망·기업의 열망… 일자리 대책엔 없었다
미스매칭 해소 워크넷등 정부 정책 현장 상황 반영 못해
내일채움공제확대 방안도 신규 대상 '기존근로자' 반발
입력 2018-03-25 21:11
수정 2018-03-25 21:1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03-26 7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