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 정치인의 지방선거 출마 기자회견을 구경하던 시민 중 1명이 퉁명스럽게 내뱉은 말이다. 기자 옆에 있던 70대 정도로 보이는 노인은 혀를 끌끌 차더니 금세 자리를 떴다.
또 선거철이 돌아왔고 다시 구도심 활성화 정책이 각 후보군의 '1번 공약'으로 등장했다. 광역, 기초 가릴 것 없이 이번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여야 후보들은 저마다의 구도심 활성화 정책을 들고 나와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시민들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안상수, 송영길, 유정복으로 이어지는 인천시장들 모두 이런 목표를 가지고 시정을 펼쳤지만 괄목할만한 성과는 내지 못했다.
그 사이 인천 신도심과 구도심 간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인천발전연구원이 발표한 '인천시 균형발전을 위한 재원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를 보면 2003년 경제자유구역 지정 이후 연수구, 서구 등 경제자유구역에 포함된 일부 기초자치단체와 그 외 자치단체 간 부(富)의 불평등이 급속하게 심화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경제자유구역에 속한 기초자치단체들이 인천시 전체에서 차지하는 지역 내 총생산(GRDP) 비중이 2005년 40.5%에서 2013년 44.1% 증가한 것으로 조사된 반면 그 외 지역은 2005년 59.5%에서 2013년 55.9%로 오히려 감소했다.
인천의 구도심 활성화 전략은 시장이 바뀔 때마다 정책 방향이 전환되며 일관되게 추진되지 못했다. 특히 임기 내 치적을 위해 오랜 기간 걸리는 구도심에 대한 투자보다는 가시적인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경제자유구역 투자 유치나 대단위 개발 프로젝트에 집중했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인천의 구도심 정책이 다시 기로에 섰다.
/김명호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