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022학년도 대입개편 시안 발표<YONHAP NO-2811>
25년만에 대입제도 개편 나선 김상곤 교육부 장관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2022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정성 논란' 학생부종합전형과
수능간 '적정한 비율' 모색 담겨져
1997년 수시 시작 69.9%까지 차지
수능점수 확인후 대입지원방식 제안

수능 모든 과목 절대평가 전환부터
현행유지·원점수 도입등도 제시돼


교육부가 내놓은 202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에는 우선 학생부종합전형(학종)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전형 간 적정한 비율을 모색해달라는 당부가 담겨있다.

'금수저 전형', '깜깜이 전형' 등으로 불리며 공정성 논란에 휘말린 학종의 확대를 경계하고 수능전형 비중을 높이는 방안을 주문한 것이다.

수능전형이 비정상적으로 확대될 경우 고교 수업이 수능 중심으로 회귀할 우려가 있다는 반대의견도 곁들였지만, '다양한 수험생의 응시기회 보장을 통한 학생·학부모 만족도 제고와 재수생, 검정고시생, 만학도 등의 재도전 기회 담보' 등을 기대효과로 꼽은 만큼 기존보다 수능전형 비중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시·정시 통합 가능성


현행 대입전형은 모집시기에 따라 통상 9월에 시작하는 수시모집과 수능 이후 시작하는 정시모집으로 나뉜다.

수시는 수능 점수 외에 다양한 전형요소로 학생들을 선발한다는 취지로 지난 1997년 도입, 당시에는 전체 모집인원의 1.4%(4천453명)를 선발했지만 2017학년도에는 무려 69.9%(24만8천669명)를 뽑는 등 정시를 훌쩍 뛰어넘었다.

하지만 시기상 고3 수험생들이 자신의 수능 점수를 알지 못한 채 지원하고, 수시와 정시를 함께 준비할 경우 교과성적·비교과활동·수능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교육부는 수시·정시를 통합하고, 수능 이후에 전형을 하는 안을 제1안으로 제시했다. 이 경우 본인의 수능 성적을 모른 채 대입지원을 하는 단점이 없어지고, 9월 수시모집 시작과 함께 3학년 2학기 수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수시·정시모집 통합으로 인해 학생들의 대입 지원기회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대학 입장에서는 학생의 다양한 면을 살펴봐야 하는 학종의 경우도, 전형기간이 줄어 내실 있는 평가가 곤란해진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018041101001022300049622

■절대평가 전환? 상대평가 유지?

현행 수능에서는 영어와 한국사는 절대평가로 원점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이에 따른 등급을 매긴다. 국어, 수학, 탐구, 제2외국어/한문 등 나머지 영역은 상대평가다.

교육부는 모든 영역에서 원점수에 따른 등급(9등급)만 매기는 절대평가 전환 방안을 1안으로 제시했다. 상대평가 과목에 학습이 편중되고 사교육이 유발된다는 지적을 고려한 대안이다.

변별력 확보를 위해 예외적으로 동점자를 처리할 때 원점수를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내놨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과목 1등급 등 동점자가 너무 많아져 대학이 수능을 중심으로 하는 정시모집을 줄이고, 공정성 논란이 있는 수시를 늘릴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다. → 그래픽 참조

2안은 현행처럼 일부 과목 상대평가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다만 아랍어 쏠림 현상이 심한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 바꾸고, 통합사회·통합과학도 절대평가하는 내용을 제시했다.

교육부는 이와 별도로 국어, 수학, 탐구과목은 원점수를 제공하고, 영어와 한국사는 절대평가 등급을 제공하는 '수능 원점수제'를 3안으로 내놨다.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등 복잡한 점수 체계를 버리고 오로지 자신이 얻은 점수를 입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 예측 가능성을 강화한다는 취지지만 시행 가능성이 가장 희박하다.

/신선미기자 ssunm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