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공서·병원 등 방문시 소통 지원
수어통역사 채용 전국 최하위 수준
1인당 담당인원 평균보다 359명↑
"사회 연결고리 태부족… 증원을"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청각·언어장애인들에게 수화 통역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어통역사가 전국에서 가장 부족한 지역이 인천으로 나타났다.

2018년 3월 기준 인천지역에 등록된 청각·언어장애인은 1만7천557명. 이들에게 비장애인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수어통역사는 23명.

인천수어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수어통역사가 담당해야 하는 청각·언어 장애인은 1인당 763명으로 전국 평균 404명과 광역시 평균 495명보다 약 300명이 많다.

전국 17개 시·도와 비교해도 인천 수어통역사는 전국에서 최하위 수준이다. 청각·언어 장애인 등록 수가 비슷한 부산(699명), 대구(672명)보다 더 많다. → 표 참조

2018042401002104500104921

수어통역센터는 청각·언어 장애인들이 관공서, 병원 등을 방문할 때 통역을 지원하고, 장애인 가족에게 수어교육을 하는 지역사회재활시설이다.

지역자치단체는 수어통역사에 대한 인건비와 센터 운영비를 지급하면서 지역 농아인협회에 센터 운영을 맡기고 있다. 전국에는 현재 199곳이 운영되고 있다.

청각·언어장애인에게 수어통역사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기 위해 관공서를 방문하는 등 일상적인 생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인천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수어통역사가 부족하다 보니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교육을 받는다거나 여가생활을 즐기기 위한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 2002년부터 인천수어통역센터에서 통역사로 활동하고 있는 김경옥(55·여)씨는 "수어통역사가 늘어날수록 단순 민원 해결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분을 지원할 수 있어 청각·언어장애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고 삶의 질도 높아질 수 있다"며 "의료, 법률과 같은 전문 분야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증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예산문제로 수어통역사 채용이 이뤄지지 않았던 부분이 있었다"며 "예산을 확보해 지난 1월 8명을 채용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상황에 맞춰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태양기자 k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