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인천 기초단체장 후보선출… SNS 등 특정후보 몰아주기
'본선에서 영향력 넓히려는 전략' 시각 속 실효여부는 미지수로

더불어민주당 인천 기초자치단체장 후보 선출 작업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경선에도 오르지 못한 예비 후보들이 '지지 선언'을 통해 선거판에 영향력 행사를 시도하고 있다.

그동안 확보한 당원, 지지자 등을 규합해 특정 경선 후보에게 몰아주면서 '선거 참여' 기회를 확대하려는 것으로 풀이되는데 실효 여부는 미지수라는 게 선거 현장의 분위기다.

민주당 5개 지역(중구, 강화군, 남구, 연수구, 남동구) 경선(29~30일)을 하루 앞둔 지난 28일 각 지역에서는 '○○○ 후보를 지지한다'는 선언이 이어졌다.

이들은 문자 메시지 발송, SNS 게시 등 '공개적 방식'으로 자신의 정치적 의사를 당원뿐 아니라 불특정 다수에게 밝혔다.

지지 선언의 공통점은 '○○○ 후보가 필승 카드'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데 있다.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지지 선언이라는 것이다. 실제 지지선언문을 보면 "○○○ 후보의 정치력과 경험이 6·13 선거를 승리로 이끌 수 있다", "다양한 경험과 추진력을 지닌 적임자, ○○○○ 후보라고 단언한다"는 식이다.

이 같은 지지 선언이 자발적으로 이뤄졌는지 아니면 경선 후보들의 제안 또는 권유로 진행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지지 선언을 표면적으로 해석하면 '민주당 승리', '위기 상황의 해결사 선출' 등 대승적 관점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 선거 출마를 준비해 온 인사와 그 세력들이 경선 탈락 이후 본인이 아닌 다른 후보의 경쟁력이 높다고 홍보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다.

이 때문에 지지 선언을 '본선에서 영향력을 넓히려는 전략'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민주당 소속의 한 경선 후보는 "선거 사무실에서 함께 일하던 사람도 '내게 도움이 안 된다'고 판단되면 바로 다른 후보 측으로 이동하는 게 선거판의 현실"이라며 "경선에 임박해 이뤄지는 지지 선언은 지지 대상이 아닌 다른 후보를 심리적으로 압박하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실효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