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윤리위원회(이사장·김기웅)는 지난 27일부터 28일까지 제주 신라스테이제주호텔 미팅 룸에서 '6·13 지방선거와 가짜뉴스 대처 방안'을 주제로 전국 일간신문 편집국장 세미나를 개최했다.
김경호 제주대 언론홍보학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에서는 정은령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SNU팩트체크센터장이 주제논문을 발표했다.
정 센터장은 "19대 대선을 앞두고 2017년 3월 언론진흥재단이 실시한 조사에서 우리나라 국민의 32.3%가 가짜뉴스를 받아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며 "이들 응답자 중 76.3%가 포털,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인터넷을 통해서였다고 응답해, 가짜뉴스의 접촉경로로 인터넷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한국에서는 2017년 이후 가짜뉴스 억제책을 담은 14개의 법안이 발의됐다"며 "하지만 일부 법안들은 가짜뉴스에 대한 개념 규정이 없이 규제수단을 밝혔으며, 가짜뉴스에 대한 개념 규정이 있는 경우에도 상이하게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SNU팩트체크 교차 검증 사례를 설명한 정 센터장은 "팩트체킹을 하기 위해서는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윤리와 일관성 있는 판정을 내릴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하다"면서 "팩트체킹 원칙규정(국제팩트체킹연대, 2016년 9월 제정) △비당파성과 공정성 준수 △자료출처의 투명성 유지 준수 △재원 및 조직의 투명성에 대한 준수 △방법론의 투명성에 대한 준수 △개방성과 정직한 수정 준수 등 다섯 항목을 소개했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 참석자들은 가짜뉴스의 개념 정의의 어려움에 대해 공감하고, 취재·데스킹 과정에서의 보다 정확한 사실 확인, 언론의 팩트체크 인력 양성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
김경호 제주대 언론홍보학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에서는 정은령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SNU팩트체크센터장이 주제논문을 발표했다.
정 센터장은 "19대 대선을 앞두고 2017년 3월 언론진흥재단이 실시한 조사에서 우리나라 국민의 32.3%가 가짜뉴스를 받아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며 "이들 응답자 중 76.3%가 포털,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인터넷을 통해서였다고 응답해, 가짜뉴스의 접촉경로로 인터넷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한국에서는 2017년 이후 가짜뉴스 억제책을 담은 14개의 법안이 발의됐다"며 "하지만 일부 법안들은 가짜뉴스에 대한 개념 규정이 없이 규제수단을 밝혔으며, 가짜뉴스에 대한 개념 규정이 있는 경우에도 상이하게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SNU팩트체크 교차 검증 사례를 설명한 정 센터장은 "팩트체킹을 하기 위해서는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윤리와 일관성 있는 판정을 내릴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하다"면서 "팩트체킹 원칙규정(국제팩트체킹연대, 2016년 9월 제정) △비당파성과 공정성 준수 △자료출처의 투명성 유지 준수 △재원 및 조직의 투명성에 대한 준수 △방법론의 투명성에 대한 준수 △개방성과 정직한 수정 준수 등 다섯 항목을 소개했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 참석자들은 가짜뉴스의 개념 정의의 어려움에 대해 공감하고, 취재·데스킹 과정에서의 보다 정확한 사실 확인, 언론의 팩트체크 인력 양성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
/강희기자 hika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