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1001000754200035111.jpg
10일 오전 전남 목포시 목포신항에서 좌현을 바닥에 댄 채 거치 된 세월호를 바로 세우기 위해 작업자들이 작업시작전 회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남 목포 신항에 있는 세월호 선체가 4년 만에 바로 세워지고 있다.
세월호 선체 직립 세월호 직립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와 현대삼호중공업은 10일 오전 9시부터 목포 신항에서 1만t급 해상크레인으로 선체를 세우는 작업에 착수했다.
세월호 선체 직립 세월호 직립
애초 선체를 세우는 작업은 6단계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선체가 이미 들려있는 상황으로 35도, 40도, 50도, 55도, 90도 등 5단계에 걸쳐 바로 세워진다.

현재 세월호는 선체 바닥과 좌현에 설치한 철제 빔 66개와 1만t급 해상크레인을 쇠줄로 연결한 상태인데, 크레인을 90도 끌어올리면 세월호가 바로 서게 된다.

선조위와 현대삼호중공업은 앞서 오전 7시께부터 안전점검 등을 하고 현장에 참관한 가족들을 대상으로 공정을 설명했다.

오전 8시 20분이 넘자 현장 작업자들의 안전 장비를 확인하고 본격적으로 작업 인원을 배치했다.

목포 신항 일대의 풍속은 초속 1m 이하로 측정됐으며 파도 또한 잔잔한 상태다.

기상청에 따르면 목포신항과 10㎞ 이상 떨어진 신안 지점의 관측 기록 역시 풍속 초속 5m, 파고 0.1m를 기록했다.

작업은 세월호 뒤편 부두에 자리 잡은 해상크레인에 와이어를 걸어 선체를 뒤편에서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고른 힘 분배와 선체 균형 유지를 위해 풍속 초속 8m, 조류 초속 0.3m, 파고 0.5m 이하의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와이어는 세월호 앞쪽과 해상크레인이 있는 뒤쪽에 각각 64개씩 설치됐으며 하중을 분산하는 장치인 블록 로더 8개를 와이어에 부착했다.

선조위는 선체가 10도 단위로 들어 올려질 때마다 현장에서 공지하고 94.5도까지 세워지면 작업 종료를 선언한다는 계획이다.

선조위측 등은 선체 직립이 성공하면 그동안 옆으로 누운 형태로 침몰해 들여다볼 수 없었던 세월호 좌현에 대한 미수습자 수색, 침몰 원인 조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