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은 누구를 위해 있는가라는
물음에 다시 답해야 할 때다
둔감함 아닌 민감성 촉수를 지닌
주인공인 여자의 감각으로
극장 건축에서 프로시니엄은 무대를 지탱하는 기둥을 뜻한다. 프로시니엄 무대는 프로시니엄을 기준으로 무대와 객석이 분리된다. 무대를 이상적으로 관극할 수 있는 자리는 객석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최고 권력자의 자리이다. 원근법의 원리에 따라 설계된 프로시니엄 극장은 객석의 위치에 따라 무대를 보는 시선에 차이가 발생한다. 반면 원형 극장은 무대와 오케스트라를 중앙에 둔다. 중앙에 위치한 무대를 객석이 원형으로 둘러싸고 있는 구조여서 사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스 샤로운은 음악당에서 울려 퍼지는 소리가 시민 모두에게 골고루 전해지기를 바랐던 것이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한 극장이 개관한다. 남산 중턱에 위치한 드라마센터. 1962년의 일이다. 원형 극장을 응용한 돌출무대로 설계된 드라마센터는 정부로부터 불하받은 땅에 록펠러재단의 기금을 주로 해서 세워지게 된다. 그러나 1년여 만에 재정난으로 운영이 중단된 후 학생들의 실습전용무대로 사용하게 된다. 2009년부터는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이 매년 10억원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운영하고 있다. 지금의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이다.
지난 4월 12일 '처의 감각'(고연옥 작·김정 연출)을 남산예술센터에서 관람했다. 굳이 신화적 상상력을 작동하지 않더라도 우리 사회의 이야기로 충분히 치환할 수 있는 무대였다. 연극의 마지막 장면에 이르러 여자는 "이제 나도 당신의 자리에 있어요."라고 말한다. 그 자리는 "사랑할 수 없는 것을 사랑하다가 남김없이 빼앗기고 쫓겨나야 했던, 세상에서 제일 가난한 사람"이 선 곳이다. "세상에서 제일 약한 사람"이 된 여자는 그곳에서 다시 길을 찾는다.
이번 '처의 감각' 공연은 두 가지 단상을 남겼다. 하나는 도시의 삶이 주는 둔감함에 관한 것이다. 한때 곰의 아내였던 여자는 동굴을 떠나 도시에 와서 살게 되지만 그녀에게 도시의 문법은 버겁기만 하다. 여자는 도시에서 밀려난 자이다. 도시의 리듬이 요구하는 둔감함을 유지하지 못하는 여자의 감각은 말해지지 않는 말에 예민하고 전해지지 않는 냄새에 민감하다. 짐멜의 말처럼, 둔감함의 본질이 "사물의 차이에 대한 마비증세"라면 여자는 길들여지지 않은 날것의 감각을 지닌 것이다. '처의 감각'이 말하고 있는 것은 현대 사회가 상실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이의 민감성과 그 회복이 아닐까.
다른 하나는 극장의 공공성에 관한 것이다. 공연을 관람한 날 남산예술센터에서는 '공공극장으로서의 드라마센터 정상화를 위한 공개토론회'가 마침 열렸다. 5월 14일에는 2차 공개토론회가 열렸다. 계약 만료 기간이 다가오는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를 공공극장으로 정상화하기 위한 토론의 자리였다. 드라마센터의 공공성은 그 설립 과정뿐만 아니라 극장의 구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마도 드라마센터를 통해 한국 연극의 "후진성을 극복하여" "연극을 세계적 수준까지 끌어올리고 싶어"했던 유치진의 바람도 그와 다르지 않았으리라.
우리 사회가 극장은 누구를 위해 있는가라는 물음에 다시 답해야 할 때이다. 둔감함이 아닌 민감성의 촉수를 지닌 '처의 감각'의 주인공인 여자의 감각으로.
/권순대 경희대 객원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