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적 경마중계식 보도 자제
당·출마자 정책·공약 평가
유권자 이해하기 쉽도록 제공
지역감정 부추기는 기사화 금지
지방선거가 북미정상회담이란 거대 이슈와 '미니 총선'이라 불리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지역 이슈가 중심이 돼서 지역의 미래를 결정할 지자체의 대표들을 선택한다는 원래의 의미가 약화돼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지역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역언론은 지방선거에 지역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정당과 후보를 제대로 선택하도록 지역이슈를 중심으로 공정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수행한 지방선거 유권자 여론조사에 따르면 '반드시 투표할 것'이라고 응답한 적극적 투표참여 의향층이 70.9%로 지난 제6회 지방선거에서 같은 시기에 조사한 결과와 비교하면 15.1%p 증가했다고 한다. 이러한 적극적 투표참여 의지가 투표율로 나타나야 하는데, 여기서도 언론의 역할이 필요하다.
지방선거에 대비해 전국의 시민언론단체가 참여한 '전국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가 발족하여 지방선거 보도 모니터 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선거기사를 심의하기 위한 선거기사심의위원회와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가 활동하고 있다. 선거보도 감시와 심의 기준에는 올바른 선거보도의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다. '전국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의 감시준칙이 이번 지방선거보도의 나침반이 될 수 있겠다. 감시준칙은 6가지 선거보도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선거를 대립과 갈등 구도로 만들고 후보의 우열과 서열을 부각시켜 유권자의 합리적인 판단을 저해하는 선정적인 경마 중계식 보도를 하지 않는다. 둘째, 유권자가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의제에 대해 후보와 정당의 정책과 공약을 평가해 유권자가 이해하기 쉽게 제공해야 한다. 셋째, 양적 균형을 이유로 정당과 후보의 주장을 그대로 전달하는 중계보도가 아니라 유·불리를 따지지 않는 적극적인 검증보도를 해야 하며 흑색선전과 의혹 폭로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넷째, 신진 후보나 군소 정당 후보도 충분히 보도해야 한다. 다섯째, 유권자의 정치적 냉소와 혐오를 확산시키는 보도를 하지 말아야 한다. 여섯째, 지역감정을 부추기는 지역주의·소지역주의 선거보도를 하지 말아야 한다.
시민언론단체가 제시한 선거보도의 방향이 실제 선거보도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정책의제 중심의 선거보도는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 어렵고 경쟁과 대결국면으로 보도하는 경마 중계식 보도는 독자의 관심을 끌 수 있다. 흥미로운 정책의제 선거보도가 필요한 것이다. 지방선거 예비후보자 범죄 정보를 확인하고 언론이 이 내용을 어떻게 보도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해본 적이 있다. 언론은 후보자와 선거운동을 비판적으로 보도해야 마땅하다. 동시에 냉소와 혐오를 만들어내는 선거보도를 자제하고 선거 참여를 유도하는 보도를 해야 한다. 균형을 맞추기 쉽지 않다. 희망적인 것은 이런 선거보도의 문제를 넘어서기 위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방선거에서 지역언론의 영향력이 여전할까? 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지방선거 후보자들이 소셜미디어 전략에 집중하니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에서 지방선거와 관련하여 유통되고 확산되는 정보는 대부분 지역언론 기사로 추정된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선거관련 정보 흐름을 직접 살펴보는 기회가 있었다. 제한적인 경험이었지만 지방선거에서는 지역언론의 선거보도 기사들이 공유되어 선거여론 형성과 확산의 중심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분권의 시대가 다가오는 상황에서 지방선거는 매우 중요하고 유권자의 참여와 올바른 선택에 있어서 지역언론의 역할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용성 한서대 언론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