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소방본부가 인천의 다중이용시설 2만3천여 동을 대상으로 화재 안전 특별 조사를 진행한다.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2017년 12월), 밀양 세종병원 화재(2018년 1월)를 계기로 화재 안전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조사다.

17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화재 안전 특별 조사는 다음 달부터 내년 12월까지 1년 6개월 간 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로 다중 이용 시설 중 복합 건축물, 노유자 시설 등이 있는 9천428개 동에 대한 조사가 오는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간 계획돼 있다.

2단계 조사 대상은 교육 연구 시설, 위험물 시설 등 1만4천개 동으로 내년 1~12월 조사가 예정돼 있다.

인천소방본부는 소방, 건축, 전기 등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반을 편성해 현장 조사를 벌인다. 소방, 건축 시설뿐 아니라 건물 이용자의 특성, 안전 관리 이력, 소방서와의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들여다본다.

이번 조사 결과를 '건축물 화재 안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오는 2020년 개설 예정인 (가칭)'국가안전정보통합플랫폼'과 연계해 활용할 예정이다.

인천소방본부는 이번 조사 기간 각 건물 관리인들에게 비상키트를 지급할 예정이다. 비상키트는 '비상구 관리표지 스티커', '화재대피 유도 신호등', '피난 유도용 소형 플래시', '화재 대피용 마스크', '소화기·소화전 위치 홍보용 표지' 등으로 구성돼 있다.

또 점검 대상 건물 중 시민 이용도가 높은 시설에 대해서는 시민참관단을 모집해 운영한다. 어린이, 여성, 고령자, 장애인 등으로 구성된 참관단이 특별 조사 과정에서 제시한 의견을 적극 수렴할 예정이다.

인천소방본부는 그동안의 화재 안전 조사와 달리 이번 조사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전문 진단팀(대학 교수, 소방·방재 기술사 등)이 평가해 5등급으로 분류한 뒤 상위 20%가 공개 대상이다.

안전도가 미흡한 건물의 경우 '행정 처분 이력', '화재 이력' 등을 외부에 알리고 유예 기간을 둔 뒤 개선 상황을 공개할 예정이다.

단, 안전상 중대한 문제가 발견되거나 시정 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건물은 유예 기간 없이 공개하기로 했다.

인천소방본부 관계자는 "건축물이 초고층, 심층화로 복잡화되고 새로운 유형의 시설이 생겨나고 기존 건축물의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대형 화재로 인한 다수 인명 피해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라며 "미래 재난에 대비, 기존의 화재 안전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대책 마련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이번 평가를 계획했다"고 말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