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오는 13~16일 달과 지구가 매우 가까워지는 '슈퍼문(Super Moon)' 현상과 태풍 '마리아'의 간접 영향으로 남·서해안 해안가 저지대의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고 11일 밝혔다.
슈퍼문은 보름 또는 그믐에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달이 크게 보이는 현상으로, 이 시기에는 기조력(조석을 일으키는 힘)이 커진다.
이번 슈퍼문은 그믐달 모양이다. 여름철은 기압이 낮고 수온이 높기 때문에 평균 해수면 자체가 높아 이번 슈퍼문 기간에 해수면 상승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이번 슈퍼문 기간 22개 지역이 '주의' 단계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인천, 목표, 마산, 성산포 등 4곳은 최대 '경계' 단계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이 설정한 고조정보는 관심, 주의, 경계, 위험 등 총 4개 단계로 돼 있다. 주요 지역 최고 조위 예보치는 인천 9.67m, 목포 5.31m, 마산 2.20m, 성산포 2.78m 등이다. 예보치는 일정한 기준면에서 해면을 측정했을 때의 높이로 인천 10.00m, 목포 5.50m, 마산 2.55m, 성산포 3.20m가 되면 해수 범람이 우려된다.
제8호 태풍 '마리아'는 1997년 제13호 태풍 '위니'와 경로가 상당히 닮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태풍 '위니'가 중국에 상륙했을 당시 남·서해안 해수면이 상승해 약 222억 원의 해수 침수 피해가 발생했었다. 당시 인천 조위가 바람 등의 영향이 없었음에도 10.08m까지 상승해 현재까지 가장 높은 해수면으로 기록되어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태풍이 해수면을 상승시키는 촉매로 작용할 경우, 서해안 일대는 최대 고조 단계인 '위험'까지 격상될 가능성이 있다"며 "야간·새벽 시간(22∼06시)에 물이 가장 높게 차오를 것으로 보여 야간 바다 활동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슈퍼문은 보름 또는 그믐에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달이 크게 보이는 현상으로, 이 시기에는 기조력(조석을 일으키는 힘)이 커진다.
이번 슈퍼문은 그믐달 모양이다. 여름철은 기압이 낮고 수온이 높기 때문에 평균 해수면 자체가 높아 이번 슈퍼문 기간에 해수면 상승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이번 슈퍼문 기간 22개 지역이 '주의' 단계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인천, 목표, 마산, 성산포 등 4곳은 최대 '경계' 단계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이 설정한 고조정보는 관심, 주의, 경계, 위험 등 총 4개 단계로 돼 있다. 주요 지역 최고 조위 예보치는 인천 9.67m, 목포 5.31m, 마산 2.20m, 성산포 2.78m 등이다. 예보치는 일정한 기준면에서 해면을 측정했을 때의 높이로 인천 10.00m, 목포 5.50m, 마산 2.55m, 성산포 3.20m가 되면 해수 범람이 우려된다.
제8호 태풍 '마리아'는 1997년 제13호 태풍 '위니'와 경로가 상당히 닮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태풍 '위니'가 중국에 상륙했을 당시 남·서해안 해수면이 상승해 약 222억 원의 해수 침수 피해가 발생했었다. 당시 인천 조위가 바람 등의 영향이 없었음에도 10.08m까지 상승해 현재까지 가장 높은 해수면으로 기록되어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태풍이 해수면을 상승시키는 촉매로 작용할 경우, 서해안 일대는 최대 고조 단계인 '위험'까지 격상될 가능성이 있다"며 "야간·새벽 시간(22∼06시)에 물이 가장 높게 차오를 것으로 보여 야간 바다 활동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