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치를 2022학년도 대입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위주로 한 정시 모집이 확대될 전망이다.
아울러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면 전환하는 방안은 유예하면서, 중장기 과제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정시모집의 확대 대상과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 비율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 등의 문제에 대해선 아직 까지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산하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는 3일 4개 대입 개편안을 두고 시민참여단 490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 4안이 골고루 점수를 받는 등 절대 다수가 지지한 안은 나오지 않았다.
490명의 시민참여단은 지난달 27~29일 충남 천안 계성원에서 대입제도 개편 숙의 토론회에 참여하고 최종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사전에 학생과 교원, 대학, 대입전문가 등이 마련한 4개 개편안에 각각 1~5점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조사 결과, 1안이 3.40점, 2안이 3.27점, 3안이 2.99점, 4안이 3.14점 등으로 분포됐다.
이에 공론화위는 "1, 2위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며 "사지선다가 아닌 의제별로 독립된 평가임에도 절대 다수가 지지한 안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시민참여단의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1안은 1안은 현행 20% 수준인 수능 위주 정시모집 비율을 45%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수능은 현행 상대평가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안과 거의 상반된 2안은 2안은 정시와 수시모집 비율은 대학 자율에 맡기고 수능은 전 과목 절대평가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포함했다.
이 같은 결과에 지난 5월 31일부터 공론화 과정을 거쳤지만 뚜렷한 결론이 나오지 않음에 따라 향후 공론화 결과의 해석을 둘러싼 논란이 예상된다.
우선 수능 위주 전형의 확대가 우세하다는 공론화위의 판단이다. 수능 위주 전형의 적정 비율을 묻는 질문에 시민참여단 중 82.7%가 현행 비율인 20%보다 높아야 한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공론화위는 "2022학년도 수험생들을 위해 학생부 위주 전형의 지속적인 확대에 제동을 걸고 수능 위주 전형의 일정한 확대를 요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1안이 수능 위주 전형을 45%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지만, 절대 다수의 지지를 못받아 향후 수능 위주 전형을 어느 정도로 높일 것인지를 놓고 논쟁은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공론화위는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선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현재 2019학년도 기준 일반 대학의 학종 비율이 37%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참여단의 설문조사에서 학종 적정비율이 30% 미만이라는 응답이 36%, 40% 이상이라는 응답이 35.3%로 비슷하게 나왔기 때문이다.
수능 절대평가 전환 방안에 대해서도 확실한 결론은 내지 못했다. 설문조사 결과 전과목 절대평가 전환은 26.7%, 절대평가 과목 확대는 27%의 지지를 받아 53.7%가 절대평가에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현행 유지 또는 오히려 상대평가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46.3%에 달했다.
공론화위는 "상당수의 시민참여단은 중장기적으로 수능 절대평가 과목의 확대를 지지하였으므로, 중장기적으로는 절대평가 방식에 대해서도 준비해야 한다"면서도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에서 전과목 절대평가로의 전환이 이르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입시 전문가들은 속단하기 이르지만 정시 모집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공론화위는 이번 공론화 결과를 국가교육회의에 제출한다. 국가교육회의 대입개편 특위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7일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만들어 교육부에 보낼 예정이다. 최종 개편안 결정은 이달 말에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면 전환하는 방안은 유예하면서, 중장기 과제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정시모집의 확대 대상과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 비율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 등의 문제에 대해선 아직 까지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 산하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는 3일 4개 대입 개편안을 두고 시민참여단 490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 4안이 골고루 점수를 받는 등 절대 다수가 지지한 안은 나오지 않았다.
490명의 시민참여단은 지난달 27~29일 충남 천안 계성원에서 대입제도 개편 숙의 토론회에 참여하고 최종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사전에 학생과 교원, 대학, 대입전문가 등이 마련한 4개 개편안에 각각 1~5점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조사 결과, 1안이 3.40점, 2안이 3.27점, 3안이 2.99점, 4안이 3.14점 등으로 분포됐다.
이에 공론화위는 "1, 2위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며 "사지선다가 아닌 의제별로 독립된 평가임에도 절대 다수가 지지한 안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시민참여단의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1안은 1안은 현행 20% 수준인 수능 위주 정시모집 비율을 45%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수능은 현행 상대평가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안과 거의 상반된 2안은 2안은 정시와 수시모집 비율은 대학 자율에 맡기고 수능은 전 과목 절대평가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포함했다.
이 같은 결과에 지난 5월 31일부터 공론화 과정을 거쳤지만 뚜렷한 결론이 나오지 않음에 따라 향후 공론화 결과의 해석을 둘러싼 논란이 예상된다.
우선 수능 위주 전형의 확대가 우세하다는 공론화위의 판단이다. 수능 위주 전형의 적정 비율을 묻는 질문에 시민참여단 중 82.7%가 현행 비율인 20%보다 높아야 한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공론화위는 "2022학년도 수험생들을 위해 학생부 위주 전형의 지속적인 확대에 제동을 걸고 수능 위주 전형의 일정한 확대를 요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1안이 수능 위주 전형을 45%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지만, 절대 다수의 지지를 못받아 향후 수능 위주 전형을 어느 정도로 높일 것인지를 놓고 논쟁은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공론화위는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선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현재 2019학년도 기준 일반 대학의 학종 비율이 37%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참여단의 설문조사에서 학종 적정비율이 30% 미만이라는 응답이 36%, 40% 이상이라는 응답이 35.3%로 비슷하게 나왔기 때문이다.
수능 절대평가 전환 방안에 대해서도 확실한 결론은 내지 못했다. 설문조사 결과 전과목 절대평가 전환은 26.7%, 절대평가 과목 확대는 27%의 지지를 받아 53.7%가 절대평가에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현행 유지 또는 오히려 상대평가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46.3%에 달했다.
공론화위는 "상당수의 시민참여단은 중장기적으로 수능 절대평가 과목의 확대를 지지하였으므로, 중장기적으로는 절대평가 방식에 대해서도 준비해야 한다"면서도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에서 전과목 절대평가로의 전환이 이르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입시 전문가들은 속단하기 이르지만 정시 모집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공론화위는 이번 공론화 결과를 국가교육회의에 제출한다. 국가교육회의 대입개편 특위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7일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만들어 교육부에 보낼 예정이다. 최종 개편안 결정은 이달 말에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