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서울과 이달중 협의 방침 속
재정 투입·준공영제는 검토 안해
입장변화 없을땐 운행중단 불가피


인천지역 광역버스 업체 6곳의 노선 폐선 신고로 시민들의 서울·경기 지역 출퇴근 대란 가능성이 커지자 인천시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인천시는 재정 투입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업계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인천시는 광역버스 19개 노선(259대)의 폐선 신고와 관련해 일시적인 재정 지원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서울시·경기도와 협의해 대책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12일 밝혔다.

업계가 주장하는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요구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 검토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시는 폐선 신고 문제로 광역버스 노선 지역인 서울시, 경기도와도 이달 중 협의를 할 방침이다. 폐선 신고를 '수용'하느냐 '반려'하느냐는 면허 허가권자인 인천시에 있지만 노선이 경유하는 서울시와 경기도는 '동의'나 '부동의' 의견을 낼 수 있다.

시의 재정 투입 반대 입장이 변하지 않을 경우 광역버스의 운행 중단은 불가피해 보인다. 업계가 운행을 중단하기로 못 박은 날짜는 오는 21일이다.

이럴 경우 수도권은 그야말로 출퇴근 대란이 불가피해진다. 시가 임시로 전세버스 등을 투입할 수는 있지만 19개 노선 버스 259대를 대체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번에 폐선 신고를 한 광역버스 업체는 인천의 광역버스 업체 8곳 중 6곳으로, 이들의 행선지는 서울역, 강남역, 양재역 등이다.

국토부가 면허권자인 M버스는 포함되지 않았다. 시가 업체 제출 자료를 근거로 파악한 6개 광역버스 업체의 적자 규모는 2017년 기준 1일 1대당 3만3천350원씩 연간 22억원이다.

시는 정확한 산출을 위해 현재 별도 용역을 벌이고 있다. 결과는 9월 중 나올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주 중으로 '수용', '반려'에 대한 입장을 마련해 대안을 찾을 계획이지만 서울시, 경기도와의 협의가 늦어지면 이달 말까지 결정이 보류될 수 있다"며 "분명한 것은 일회성 지원은 지양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