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81401000958300043851
이 소녀들, 언제쯤에나 웃을까…-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건립한 경기·인천지역 '평화의 소녀상'이 후속 관리의 부실로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다. 사진 왼쪽부터 성남·오산·평택·용인·화성 평화의 소녀상.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경인지역 23곳 대부분 관리부실
공공조형물 지정 등 대책 목소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이 건립 열풍으로 경기 인천지역 23개를 포함해 전국에 102개가 만들어졌지만, 정작 관리는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등에 따르면 지난 1997년 광명 나눔의 집에 처음 소녀상이 세워진 후 2011년 말 '수요집회' 1천 회를 기념하기 위해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두 번째 소녀상이 세워졌다.

그 뒤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기리고 일본군 성 노예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들이 뜻을 모아 전국에 소녀상을 잇달아 세워 현재까지 경기도 22개, 인천시 1개를 포함해 전국에 총 102개가 세워졌다.

그러나 꾸준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수난을 겪는 소녀상들도 생기고 있다. 실제 화성시 동탄신도시에 세워진 소녀상의 경우 소녀상과 함께 있는 화단에 쓰레기가 버려져 있어, 수시로 치우기 바쁜 상태다.

인천 부평공원의 소녀상은 얼굴에 땟국물이 졌을 정도로 관리가 소홀하다는 게 지역 주민들의 이야기다.

건립만 해놓고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는 것도 문제지만, 소녀상이 공공조형물로 지정돼 있지 않아 관리가 안 되는 제도적 문제점도 있다.

수원·성남·안양 등 도내 5곳을 제외하고는 소녀상이 공공조형물로 지정돼 있지 않다. 이에 소녀상 주변에서 담배를 피거나 오물을 버리는 행위 등이 수시로 발생한다.

이 때문에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후원하는 업체인 마리몬드가 소녀상의 공공조형물 지정을 위해 운동을 벌이고 있다.

정의기억연대 관계자는 "공공조형물로 지정되면 지자체가 폐쇄회로(CC)TV를 통해 24시간 감시를 할 수 있어 훼손과 같은 범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파손된 곳이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정기점검과 소녀상 주변 환경정비 등도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이경진기자 lk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