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모습 변화시킬 수 있지만
눈의 형상·눈빛은 바꿀 수 없어
하늘영역의 가치 기준이기 때문에
관상학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여겨
![전문가-김나인2](https://wimg.kyeongin.com/news/legacy/file/201808/2018082001001282100059501.jpg)
아무리 얼굴이 맑고 풍륭해도 눈빛이 흐릿하고 초점이 흩어지고 어두우면 잘 되어가던 일도 갑자기 막혀 고전하게 되며 심하면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 등으로 생명에까지 위태로운 일이 발생 되는 것이다. 중병으로 죽어가던 사람도 눈빛이 밝아지고 은은한 광채가 발하면 그때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여 건강을 되찾게 되나, 이와 반대로 안신이 꺼져가는 불빛처럼 흐릿하고 탁해지면,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니 부귀영화도 물거품처럼 흩어져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눈은 크기와 상관없이 광채가 나고 초점은 분명하며 맑고 선명해야 정신기(精神氣)의 상태가 온전하고 기혈작용이 정상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마음의 바탕에 담긴 정신의 상태에 따라 운의 흐름이 눈에 그대로 투영되는 것이니, 그래서 눈은 마음의 거울이고, 마음을 담은 그릇이라 말하는 것이다.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건강해 보여도 얼굴에 담겨있는 기색의 형상은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마음에 따라 상(相)은 변하고 바뀌게 된다. 좋은 생각, 배려와 관심 그리고 작은 성의와 정성이 그 사람의 명운을 좋게 만드는 경우가 흔한 것이 사실이다. 자신의 이익이 아닌 타인을 위하는 마음으로부터의 출발, 그것이 양심이며 양심이란, 내가 행하여 싫은 것은 남에게도 보여주거나 강제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배고픈 사람이 더 배고픈 사람에게 빵을 나누어 함께 먹는 일, 그것이 선업이고 양심 있는 삶이다. 우리는 세상을 살면서 본의 아니게 남에게 피해와 상처를 남기는 일이 너무도 많다. 무심코 던진 사소한 말 한마디가 상대방을 살릴 수도 죽일 수도 있고, 작은 배려가 죽어가는 사람의 생명을 살리기도 한다. 살아가면서 사람이 행하는 모든 행동은, 그것이 비록 미미하고 사소하여 남의 눈에 띄지 않는 일이라 해도 모두가 선(善)이든 악(惡)이든 업(業)을 남기는 일이며, 훗날 과보가 되어 자신에게 되돌아 오는 것이니, 이 업보에 따라 인간의 삶에 영향을 주어 명운의 틀을 완전히 바꿀 수도 있다는 것은 결코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선업과 악업은 남몰래 숨어 행한다 하여 언제까지나 감출 수만은 없는 일이며, 드러내놓고 행한다 하여 모두가 칭송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자신의 이해가 아닌, 갓 태어난 어린아이에게 젖을 물리는 어머니의 마음처럼, 생명의 소중함 외에 그 어떤 가치도 부여하지 않는 마음, 그것이 진정한 배려요 선업이라 할 수 있다. 선을 행하는 마음에 사람이든 동물이든 가릴 것은 없다. 이런 실천을 행하는 사람의 마음의 바탕에서 돋아나는 눈빛은 그래서 맑고 밝고 선명하며 은은한 광채를 발하는 것이다. 이런 눈빛을 가진 사람에게 어찌 자손에게 이로움이 없다 말하며, 그 집안이 흥함을 의심하겠는가. 때가 되면 반드시 발하는 것이 과보이니, 훌륭한 부모를 둔 것도,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고생을 하며 살아온 것도, 형제 덕이 있고 좋은 친구를 만나는 일도, 좋지 않는 친구를 곁에 두어 쇠락의 길을 동행하는 것도 모두가 전생의 과보일진대, 누군들 부잣집에서 태어나 고생 없이 편안하게 살고 싶은 욕망하나 없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은 누구라도 부모를 직접 선택하고, 자신의 얼굴을 직접 만들고, 세상에 태어나는 날을 직접 가리어 세상에 나오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을 것이니 이것이 숙명이요, 과보에 따른 현생에서의 출발선이 되는 것이다. 그것이 인간 의지와 맞물려 운명이라는 틀에서의 또 다른 업보를 만들게 되는 것이고, 이 업보가 선(善)과 악(惡)이라는 어떤 결과물로 나타나는바, 얼굴 모습은 다르게 꾸미고 바꾸고 변화시킬 수 있지만, 눈의 형상과 눈빛의 기색만은 그 어떤 것으로도 꾸미거나 바꿀 수는 없는 것이다. 이는 인간 의지를 넘어서는 하늘의 영역에서의 가치기준에 기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관상학에서도 눈의 형상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있는 것이다.
/김나인 한국역리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