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硏, 에코뮤지엄 모델 적용 제안
건물 벗어나 자연·문화유산 보전
'지역이 전시물… 주민이 관리자'
한반도 역사의 축소판이라 불리는 인천 강화도의 다양한 유·무형 자산을 활용해 대안 박물관 모델 중 하나인 '에코뮤지엄'을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최영화 연구위원은 23일 발표한 정책 연구보고서 '강화지역 자원의 융합적 활용을 위한 에코뮤지엄 모델 적용 방안'을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연구에는 김창수 선임연구위원과 이선정 초빙연구원이 함께 참여했다.
'환경·생태(echology)'와 '박물관(museum)'의 합성어인 에코뮤지엄은 196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만들어진 개념으로 "지역 사람의 생각과 자연, 환경, 역사, 자연유산, 문화유산을 현지에서 전시한다"는 취지의 대안 박물관 모델이다.
이는 강화도를 설명할 때 흔히 쓰는 '지붕 없는 박물관'의 개념과도 일맥상통한다.
건물을 지어 유물·소장품을 전시하는 전통적인 박물관 형태에서 벗어나 장소를 한정하지 않고,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자연·문화유산을 지역 주민이 보전하고 관람객에게 설명하는 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강화군은 마니산을 포함한 16개 산지를 보유하고 있고, 자연 휴양림과 수목원, 20개 코스의 나들길, 15곳의 공원 등 풍부한 녹지공간을 자랑한다. 또 112개의 지정 문화재와 향토유적 19개, 천연기념물 4개가 있다.
고인돌, 참성단 등 선사시대 유물부터 고려시대, 근현대 유물·유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를 아우르는 역사자원을 갖고 있다.
에코뮤지엄은 이런 강화의 자연·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해 섬 전체를 박물관으로 만들어 주민들이 운영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섬 전체가 박물관이 되면 지역 자산이 전시물, 주민들이 학예연구사가 되는 셈이다.
도시경영연구실은 강화 에코뮤지엄 설립을 위해 관련 조례 제정, 거점센터 지정, 박물관 섬 브랜드 발굴·홍보, 에코뮤지엄 운영주체(주민) 발굴·육성, 재원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영화 연구위원은 "에코뮤지엄은 지역 주민들이 지역 자산의 보호자, 전승자, 기획자, 매개자가 되어 공동으로 관리·운영하는 방식으로 지역 문화자치 증진과 공동체 형성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며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강화도, 진짜 '지붕없는 박물관'으로 거듭나나
입력 2018-08-23 20:59
수정 2018-08-23 20:59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08-24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진행중 2024-11-22 종료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유죄가 최종 확정된다면 국회의원직을 잃고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 법원 판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