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아시안게임 폐막식을 앞두고, 석연치 않은 판정에 대해 대한유도회가 입장을 밝혔다.
지난 1일 한국 유도대표팀은 일본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남자 3체급(73kg이하급, 90kg이하급, 90kg 이상급)과 여자 3체급(57kg이하급, 70kg이하급, 70kg이상급)에서 겨루는 유도 혼성 단체전서 일본과 3승3패를 거뒀다. 승패로는 무승부, 다음 기준인 스코어로 승부를 가려야 하는 상황.
한판승은 10점, 절반승은 1점, 지도승은 0점으로 계산된다. 8강전에서 한국은 안창림(73kg)이 한판승, 곽동한(90kg)이 절반승, 김민정(70kg 이상급)이 반칙승을 거뒀다. 한국의 스코어는 11점. 반면 일본은 한판승 1번, 두 차례 반칙승으로 스코어는 10점. 명백한 한국의 승리다.
하지만 심판은 곧바로 판정을 내리지 않고, 한참의 논의 끝에 일본의 승리가 선언됐다. 지도승에 한판승과 같은 10점을 적용해 일본이 30 대 21로 한국을 이기게 된 것.
이에 대해 일본의 데일리스포츠는 "올해 개정된 국제유도연맹(IJF)의 규칙은 지도 차에 의한 우세승이 없도록 했고 3개의 반칙승부(부전승, 기권승, 지도승)는 모두 한판승으로 취급한다고 돼 있다"면서 "각 팀의 수뇌부에는 사전에 영어로 알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2일 대한유도회는 종목 경기위원회가 단체전 연장전 시 스코어 계산 규정을 경기 전날 고지했다는 일본 매체 보도내용에 관해 "오보"라고 정면 반박했다.
대한유도회 강동영 사무국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시안게임 유도 주최 측은 단체전 경기 전날인 31일 오후 3시 경기장 전광판에 화면을 띄우고 감독자 회의를 진행했다"라며 "감독자 회의에선 계체에 관한 내용 등만 논의했으며, 스코어 계산 규정에 관해선 고지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강 사무국장은 이어 "일본 유도 관계자들은 자국 매체를 통해 심판위원회가 감독자 회의에서 스코어 계산 규정을 알려왔다고 밝혔는데, 감독자 회의에선 심판위원이 참석하지도 않았다"라며 "경기부 관계자만 참석했다. 일본의 보도내용은 오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