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형상화 된 비무장지대 '철조망'
우리역사 가장 커다란 아픔 잉태
그 공간엔 아름다운 풍경 간직
어느덧 남북 화해·협력의 흐름
항구적 평화 가져다 줄 유일한 길


2018091301000949200046351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문과 교수
제3차 남북 정상회담과 그 후속 조치는 한반도에서의 긴장완화와 상호 신뢰회복을 위한 필연적 과정일 것이다. 그동안 남북이 겪어온 전쟁과 휴전, 적의(敵意)와 갈등의 연쇄는 이러한 절차들을 가로막고 있는 물리적 경험들인 터인데, 지금 남북이 함께 계획하고 있는 비무장지대(DMZ) 공동유해 발굴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 과정은 이러한 우리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어가는 중요한 분기점이자 통일로 나아가는 상징적 의례가 될 것이다.

1950년 6월 25일, 이 땅에서 전쟁이 일어난 지 어느덧 7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났다. 얼추 셈해보아도 두 세대가 훌쩍 지나버린, 참으로 오랜 시간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전쟁의 기억도 어느 정도 흐려졌고, 당대적 경험을 가진 이들은 어느새 고인이 되었거나 노년의 연배로 들어섰고, 전쟁을 겪지 않은 '전후 세대'조차 중년이 되었다. 하지만 과연 전쟁은 잊혀져버렸을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여전히 한반도는 분단의 연장선상에 있고 전쟁의 위협 역시 가시지 않고 있으니, 휴전 상황은 지금도 강한 잠재적 압박으로 다가들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우리에게 '휴전선'은, 분단을 물질적으로 확인시키는 확연한 표지인 동시에, 언젠가는 허물어져 민족통합을 이룰 한시적인 울타리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

전쟁 직후 시인 박봉우는 그 '휴전선'을 "산과 산이 마주 향하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향한 항시 어두움 속에서 꼭 한 번은 천동 같은 화산이 일어날 것을 알면서 요런 자세로 꽃이 되어야 쓰는가"라고 가열하게 노래한 바 있다. 그는 민족통합을 결정적으로 가로막고 있는 상징인 '휴전선'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모았다. 반공 이념의 토대가 조금도 흔들리지 않았던 시기에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동족 간에 벌이고 있는 살풍경을 이처럼 강렬하게 각인한 시편을 우리는 일찍이 본 일이 없다. 당시로서는 터부시되어왔던 이러한 제재를 형상화한 박봉우는 민족사의 비극을 냉소나 부정의 태도가 아니라, 꽃과 바람 그리고 별과 하늘의 천체적 은유를 통해 표현하였다. 특히 "아무런 죄도 없이 피어난 꽃"이라는 상징 속에는 강대국의 세력 각축과 이념의 싸움의 틈바구니에서 어쩔 수 없이 서로 죽고 죽어야만 했던 시간들이 내포되어 역사적 비극성의 참된 의미가 잘 조형되어 있다. 시인은 분열된 민족의 전체성을 탐구하고 그것을 민족통합에 대한 강한 열망으로 승화시켰던 것이다. 이처럼 전쟁과 휴전의 경험 그리고 그로 인해 생겨난 휴전선은 우리 시사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 영역을 드리운 채 반세기 이상의 시사적 축적을 이루어왔다.

이렇게 시인들이 형상화한 '비무장지대'의 상관물은 '철조망'이라는 단애(斷崖)의 모습으로 줄곧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전쟁'을 지우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쟁'을 안고 흘러가는 임진강, 새들이 노닐고 꽃들이 피어나는 비무장지대의 광활하고 원형적인 자연, 이들을 배경으로 완강하게 버티고 서 있는 철조망은 우리 역사의 가장 커다란 아픔을 잉태한 둘도 없는 공간으로 등장했던 것이다. 이렇게 분단의 기억을 안고 번져가는 아프고도 아름다운 풍경들을 간직하고 있는 철조망 곧 훼손되지 않은 천혜의 자연으로 존재하는 DMZ는, 한편으로 문인수 시인이 노래한 "비무장지대는 중무장지대"라는 역설을 받아들이면서, 통일의 시점에 이를 때까지 줄곧 민족사의 한복판에 서 있는 역설의 지표가 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러한 언어적 구체가 발화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70년 가까운 시간을 흘려온 셈이다. 아득하기만 하다.

어느덧 우리 피부 가까이 와버린 남북 화해와 협력의 흐름은 민족사의 필연적 귀결로서 이제는 그 역류를 불허할 것이다. 그것만이 항구적 평화를 가져다줄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남북 정상회담과 그 후속 조치들이 이러한 열망에 구체적이고도 실효성 있는 형식을 부여해가기를 바란다. 그때 DMZ는 서서히 분단에서 통일의 상징으로 몸을 바꾸어갈 것이다.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