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 역시 개발의 세찬 바람을 비껴가지 못하기는 마찬가지여서 이미 오래전부터 오산~송전간 도로변을 따라 물류창고와 식당, 공장들이 군데군데 들어서왔다.
특히 경부고속도로에서 불과 10여분 거리에 위치한 지리적 입지 조건으로 인해 지난 90년대 중반부터는 크고 작은 공장들이 들어서기 시작, 최근까지 150여개 공장이 문을 연 상태고, 공장설립승인을 받아 토목공사가 진행중이거나 신설을 앞두고 있는 곳만도 10여곳이 넘는다.
오산쪽에서 한화플라자를 지나면서 듬성듬성 공장들이 자리잡은 북리 일대는 요즘 얼핏 골프장 공사를 연상케하는 대규모 토목공사가 한창이다. 수년전까지 양계장으로 사용되던 이 땅은 지난 99년 공장설립허가를 받은뒤 올 초부터 공장부지 조성을 위한 토목공사가 시작됐다.
3만6천여평에 달하는 이 부지는 화성지역에서 진행중인 여느 대규모 공장부지 조성사업들과 마찬가지로 얼마전까지만 해도 도로변에 야트막하게 펼쳐진 야산이었다.
하지만 공장설립승인과 함께 이뤄진 '산림형질변경허가'의 이름으로 연일 중장비가 동원되더니 지금은 시뻘건 황토벌이 오랜 세월 유지해온 산의 형태를 대신하고 있다.
경사 완만한 야산이라고는 하나, 워낙 대규모 토목공사가 이뤄지다보니 이곳에서 발생하는 토사만도 최소한 3만㎥이상은 될 것이라는 게 토목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트럭 3천대 분량이다.
발생된 토사로 골짜기를 메우고 인근에서 공사가 진행중인 공장부지로 대부분 반출되고 있다는 게 개발업체의 설명이지만 달리 반출 장소가 정해지기 전에는 기준량이상의 토사가 주변 농경지의 성토용 등으로 반출될 수밖에 없는 분량이다.
대규모 토목공사답게 토지 매입이 안된 일부 부지는 이발을 하다 한줌 남겨놓은 머리카락 처럼 흉한 몰골로 남아 있기도 하다.
이 곳 역시 '공장설립허가→산림형질변경→토목공사→공장분양'의 일반적 수순을 따르기는 마찬가지다. 토목공사가 막 시작될 무렵, 이 일대 도로변에는 '공장부지 분양'이라는 현수막이 곳곳에 내걸렸고, 도로변 쪽 9천여평의 부지는 벌써 임자를 찾았다는 게 이지역 부동산 업계의 얘기다.
개발업체는 이 일대를 9천여평씩 4개 구역으로 나눠 각각 2개씩의 공장부지와 물류시설로 분양, 명실상부한 소규모 공단으로 조성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평당 30만원 안팎에 머물던 땅값도 이같은 대규모 개발을 거치면서 50만원대를 훌쩍 넘어섰다. 인근 토지주들의 '기대치'도 덩달아 높아져 개발지 인접 토지들은 '부르는게 값'이다. 최근에는 공장 개발업체측에 200만원대의 땅값을 부르며 매입을 요구하는 토지주들도 등장했다.
이 지역이 공장개발의 적지로 떠오르게 된 데는 용인시의 도시계획도 한 몫을 한다. 용인시가 이 일대 50여만평의 부지를 공단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 수년전부터 부동산업계에 기정사실처럼 알려졌고, 실제로 도시계획 재정비안이 확정되기 전인 지난해 말까지 이 곳은 일반공업지역 예정지로 분류됐다.
현재 남사면 지역에 등록된 공장 147개 중 절반가량인 69곳이 지난 2000년 이후에 공장 문을 열었다.
지난해말 현재 용인시 전체 공장총량 물량 19만4천여㎡ 중 남사면 지역에만 5만9천여㎡가 배정·집행돼 19개 읍·면·동 가운데 수위를 차지했다. 공장 건축허가및 신고 건수도 총159건 가운데 31건이 남사면지역에 집중됐다.
용인은 여전히 개발업자와 투기꾼들이 표적으로 삼는 요지 중의 요지다. 행정기관으로서는 관계법령에 저촉이 되지 않는 한 지역내 공장입지를 막을 근거도 이유도 없다. 지자체 단위의 계획적인 공단 조성이 각종 법규에 묶여 '그림'으로만 떠도는 사이 공장이 제 2의 난개발을 부르는 주범이 되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