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의 한 기초단체는 최근 청년 창업가에게 최대 1천500만 원의 창업지원금과 2년간 매월 최대 100만 원까지 임차료를 지원해주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했다. 초기 창업자에겐 분명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돈일 테다. 하지만 이 사업을 신청할 수 있는 나이는 만 39세 이하다. 초기 청년창업기업의 세무·회계, 기술보호를 지원해주는 정부의 '창업기업지원 서비스 바우처사업'도 대표자 나이가 39세 이하여야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 관련 기업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에게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는 '기술혁신형 창업기업 지원사업'은 물론 청년창업펀드, 청년창업사관학교 등 만 39세 이하를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은 차고 넘친다. 40세 이상 창업자를 지원하는 사업은 쉽게 찾기 힘든 게 현실이다. 창업 현장에선 30대는 물론 40대 역시 두각을 나타내는 '주류' 세대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창업자 나이는 40대가 33.8%로 가장 많았다. 30대는 15%로 50대(32.3%)와 60대(17.5%)보다 적었다. 40대의 창업 비중은 2016년 32.2%보다 높아진 수치다. 40대 창업자는 관련 업계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공급되고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장단점을 꿰뚫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더욱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창업 전문가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창업은 누군가에겐 새로운 시작일 수 있고, 인생의 전환점일 수 있다. 창업의 무게감과 중요성만큼은 39세 이하든, 40세 이상이든 다르지 않다.
/이현준 인천본사 경제부 차장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