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앞두고 與중심 비판론
취지위배 일반고 전환 검토 지적
"진학률만 단순비교 동의못해…
외국어는 목적 아닌 도구" 반론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여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외국어고 비판론'이 제기되고 있다. 외국어고 학생들의 어문계열 진학률이 낮아 본래 설립 취지에 어긋나게 운영되니 일반고 전환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어문계열 진학률만 놓고 외국어고를 평가하는 것은 '편협한 시각'이라는 비판 여론이 높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인천 연수구갑)의원, 김해영 (부산 연제구)의원은 최근 전국 외고의 대학 진학률 집계 자료를 교육부에 요구해 제출받으면서 외고의 운영 실태를 문제 삼고 나섰고 '단호한 조치', '일반고 전환' 등을 주문하고 있다.
이들 의원들은 전국 외고의 상당수가 외고의 설립 근거가 되는 초중등교육법시행령 90조(특수목적고)의 취지에 맞지 않게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법령상 '외국어에 능숙한 인재 양성'의 목적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박 의원에 따르면 외고 대학 진학생 10명 중 6~7명이 '비 어문계열'에 진학하고 있다. 김 의원은 최근 5년간 외고 졸업생 중 어문계열 진학률이 36%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경인 지역 외고의 최근 5년간 어문계열 진학률은 김포외고(26%), 미추홀외고(28%), 인천외고(31%), 경기외고(36%), 성남외고(36%), 안양외고(37%) 순으로 나타났다.
외고를 졸업하고 어문계열 학과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아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고, 외고를 '입시의 도구'로 활용하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는 것이 이들 국회의원의 주장이다.
하지만 외고 현장 반응은 다르다. 우선 어문계열 진학률만 놓고 외고를 비판하는 관점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인천의 경우 올해 외고 출신 진학자의 90%가량이 문과 대학을 선택했다.
경인지역의 한 외고 관계자는 "글로벌 인재 양성 차원에서 보면 외국어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도구에 가깝고, 계열에 관계없이 외국어를 잘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외국어에 능숙한 인재 양성을 위한 목적의 외고 학생들은 어문계열에 많이 가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의 자사고·외고 폐지 방침 이후 올해 부산국제외고는 일반고 전환을 확정했다. 강원외고는 일반고 전환을 신청했지만, 강원도교육청은 부결했다. 각 지역의 교육 환경이 반영된 것이지만, 외고의 일반고 전환을 두고 찬반 논란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인천의 경우 아직 외고의 일반고 전환 분위기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외고를 일반고로 전환하려면 학교가 구성원 의견을 수렴해 교육청에 신청해야 하는데 인천의 경우 일반고 전환 여론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
외고 "대학 어문계 안가" "편협한 시각" 국회-현장 엇갈린 시선
입력 2018-10-08 21:49
수정 2018-10-08 21:49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10-09 6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