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악취, 잦은 고장 등으로 '혈세 먹는 애물단지'로 전락한 인천 송도국제도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운영을 전면 재검증해야 한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송도국제도시에는 총 7곳의 쓰레기 자동집하장이 설치돼 있다. 송도 전체에 깔린 53.6㎞ 길이의 지하 수송관로를 통해 각 건물에서 배출하는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집하장으로 모으는 구조다. 송도에 쓰레기 수거차량이 없는 이유다. 하지만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가 하나의 수송관로를 이용하면서, 각종 쓰레기가 '곤죽'처럼 뒤섞여 관로에 끼거나 악취를 유발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정의당 이정미 의원은 18일 지방환경청 국정감사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 자동집하시설 설계 당시부터 이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정미 의원이 인천경제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생활폐기물 전처리 및 자원순환시설 제5, 7공구 기본계획서'(2009년 5월 작성)를 보면, "우리나라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염분으로 관로의 부식이 우려되고, 관로에 부착되는 음식물로 악취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는 관로이송이 부적당한 쓰레기"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 기본계획서상에는 자동집하시설 쓰레기 처리비용이 차량수거방식보다 1.14배 저렴하다고 분석됐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차량으로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 자동집하시설보다 2배 싸다는 주장도 나왔다. 인천 연수구가 이정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송도 자동집하시설을 이용하는 세대는 지난해 1세대당 8만7천원의 쓰레기 처리비용이 들었다. 반면 연수구 내 집하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세대는 지난해 1세대당 쓰레기 처리비용이 4만3천원으로, 송도보다 2배가량 비용이 덜 들었다.
이정미 의원은 "송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악취, 안전성, 성능 등을 객관적으로 다시 검증해야 한다"며 "검증과정에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논의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송도국제도시에는 총 7곳의 쓰레기 자동집하장이 설치돼 있다. 송도 전체에 깔린 53.6㎞ 길이의 지하 수송관로를 통해 각 건물에서 배출하는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집하장으로 모으는 구조다. 송도에 쓰레기 수거차량이 없는 이유다. 하지만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가 하나의 수송관로를 이용하면서, 각종 쓰레기가 '곤죽'처럼 뒤섞여 관로에 끼거나 악취를 유발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정의당 이정미 의원은 18일 지방환경청 국정감사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 자동집하시설 설계 당시부터 이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정미 의원이 인천경제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생활폐기물 전처리 및 자원순환시설 제5, 7공구 기본계획서'(2009년 5월 작성)를 보면, "우리나라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염분으로 관로의 부식이 우려되고, 관로에 부착되는 음식물로 악취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는 관로이송이 부적당한 쓰레기"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 기본계획서상에는 자동집하시설 쓰레기 처리비용이 차량수거방식보다 1.14배 저렴하다고 분석됐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차량으로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 자동집하시설보다 2배 싸다는 주장도 나왔다. 인천 연수구가 이정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송도 자동집하시설을 이용하는 세대는 지난해 1세대당 8만7천원의 쓰레기 처리비용이 들었다. 반면 연수구 내 집하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세대는 지난해 1세대당 쓰레기 처리비용이 4만3천원으로, 송도보다 2배가량 비용이 덜 들었다.
이정미 의원은 "송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악취, 안전성, 성능 등을 객관적으로 다시 검증해야 한다"며 "검증과정에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논의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