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이 또다시 급등하면서 각각 1천700원과 1천500원 선에 바짝 다가섰다.
국제유가는 최근 소폭의 하락세를 보였지만 기존의 국제유가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반영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셋째주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된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은 1천686.3원으로 전주보다 ℓ당 평균 11.3원 올랐다.
자동차용 경유도 한 주 만에 12.5원이나 오른 1천490.4원에 판매되며 올 들어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실내용 등유는 12.8원 오른 1천.6원으로, 2015년 1월 셋째주(1천19.0원) 이후 처음으로 1천원을 넘어섰다.
휘발유 전국 평균가는 지난달 둘째주(1천630.28원) 이후 매주 10원 안팎의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어 이같은 추세면 다음주 1천700원 선을 위협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가격은 지난 2014년 12월 첫째주(1천702.9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휘발유 가격이 1천700원 선을 넘어서면 약 3년 10개월 만에 1천700원을 넘는 셈이다.
경유 가격도 최근 추세가 이어질 경우 이달 중에 1천500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
상표별로는 가장 비싼 SK에너지의 휘발유 가격이 전 주 보다 11.2원 상승한 1천702.0원으로 이미 1천700원을 넘어섰다. 가장 싼 알뜰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ℓ당 평균 12.3원 오른 1천660.4원을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휘발유 가격이 평균 11.1원 오른 1천769.9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10.4원 상승한 1천659.5원을 기록해 서울보다 110.4원 싼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는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 재고 증가 및 세계 수요 증가세 전망치 하향 등의 요인으로 하락했으나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갈등 요인 등이 하락 폭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국내 제품 가격은 기존의 국제유가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반영됨에 따라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국제유가는 최근 소폭의 하락세를 보였지만 기존의 국제유가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반영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셋째주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된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은 1천686.3원으로 전주보다 ℓ당 평균 11.3원 올랐다.
자동차용 경유도 한 주 만에 12.5원이나 오른 1천490.4원에 판매되며 올 들어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실내용 등유는 12.8원 오른 1천.6원으로, 2015년 1월 셋째주(1천19.0원) 이후 처음으로 1천원을 넘어섰다.
휘발유 전국 평균가는 지난달 둘째주(1천630.28원) 이후 매주 10원 안팎의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어 이같은 추세면 다음주 1천700원 선을 위협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가격은 지난 2014년 12월 첫째주(1천702.9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휘발유 가격이 1천700원 선을 넘어서면 약 3년 10개월 만에 1천700원을 넘는 셈이다.
경유 가격도 최근 추세가 이어질 경우 이달 중에 1천500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
상표별로는 가장 비싼 SK에너지의 휘발유 가격이 전 주 보다 11.2원 상승한 1천702.0원으로 이미 1천700원을 넘어섰다. 가장 싼 알뜰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ℓ당 평균 12.3원 오른 1천660.4원을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휘발유 가격이 평균 11.1원 오른 1천769.9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10.4원 상승한 1천659.5원을 기록해 서울보다 110.4원 싼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는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 재고 증가 및 세계 수요 증가세 전망치 하향 등의 요인으로 하락했으나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갈등 요인 등이 하락 폭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국내 제품 가격은 기존의 국제유가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반영됨에 따라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