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비리유치원 사태와 관련해 정부의 강력한 처벌과 유치원측의 자율정화체계 강화를 주문했다.
김병준 위원장은 20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책방향을 밝혔다.
그는 "정부는 비리유치원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함께 투명한 회계시스템·감사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국가가 감독과 통제를 독점·주도해서는 안 된다. 자칫 유치원·어린이집 운영이 경직될 수 있고 창의적인 교육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현재 유치원·어린이집 등에 국가의 관리 감독이나 감사 시스템이 없었던 게 아니었다. 매년 교육청이 정기점검을 통해 비리를 적발해왔는데도 비리는 반복됐고 오히려 만성화 경향까지 있었다"고 비판하고 "유치원·어린이집의 자율정화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치원·어린이집의 자율정화체계를 강화하는 방법으로는 "투명한 회계시스템을 갖추게 해 돈의 흐름을 상식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것은 기본"이라고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학부모 협동조합 운영을 권장하거나, 학부모로 구성된 이사회가 책임을 공유하게 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라며 "유치원·어린이집이 아닌 학부모에게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법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마지막으로 "사립유치원 회계비리 사태는 학부모들만이 아니라 온 국민이 분노할 일"이라며 "한국당은 아니지만 이렇게 중요한 문제를 파헤친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병준 위원장은 20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책방향을 밝혔다.
그는 "정부는 비리유치원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함께 투명한 회계시스템·감사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국가가 감독과 통제를 독점·주도해서는 안 된다. 자칫 유치원·어린이집 운영이 경직될 수 있고 창의적인 교육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현재 유치원·어린이집 등에 국가의 관리 감독이나 감사 시스템이 없었던 게 아니었다. 매년 교육청이 정기점검을 통해 비리를 적발해왔는데도 비리는 반복됐고 오히려 만성화 경향까지 있었다"고 비판하고 "유치원·어린이집의 자율정화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치원·어린이집의 자율정화체계를 강화하는 방법으로는 "투명한 회계시스템을 갖추게 해 돈의 흐름을 상식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것은 기본"이라고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학부모 협동조합 운영을 권장하거나, 학부모로 구성된 이사회가 책임을 공유하게 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라며 "유치원·어린이집이 아닌 학부모에게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법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마지막으로 "사립유치원 회계비리 사태는 학부모들만이 아니라 온 국민이 분노할 일"이라며 "한국당은 아니지만 이렇게 중요한 문제를 파헤친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고 밝혔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