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만난 50대 '아가씨'에게서 그곳 상황을 들어보니 수긍이 갔다. 그는 10여곳의 성매매업소에서 30∼60대 종사자 70여명이 일하고 있는데, 퇴거 요구를 받아 올해를 끝으로 모두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놓였다고 했다. 이곳에는 주택조합이 설립돼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라고 한다. 성매매 장소로 사용하던 건물 주인과 건물을 빌려 아가씨를 고용해 장사하는 업주는 보상을 받았는데, 정작 그곳에서 일했던 노동자들은 아무런 생계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방을 싸야 할 처지가 됐다고 하소연했다. 불법을 저지른 건 건물주나 업주, 종사자 모두 매한가지인데, 그 끝이 너무나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는 허탈해했다. 성매매 업소라는 장소를 제조업 공장으로 바꿔 생각해보니 그들이 처한 상황이 쉽게 이해가 됐다. 그들은 퇴직금이나 실업수당 등도 없는 상황에서 회사가 폐업하게 된 것이다. 공장주는 언제 폐업할 것이라고 노동자들에게 알려주지도 않았다. 미추홀구와 구의회가 이들의 탈성매매와 자활을 돕겠다며 연간 최대 2천여만원의 지원금을 주는 내용의 조례를 제정한 것에 대해서도 불편한 속내를 드러냈다. 자신들은 그런 지원금을 달라고 한 적 없고, 바라지도 않았다. 조례나 시행규칙이 만들어지기 전에 상의 한 차례 없었다. 그런데 실현 가능하지 않은 생색내기식 조례 때문에 손에 쥐는 것 하나 없이 비난만 받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불법적인 환경에서 일한다는 이유로 아무런 권리도 주장하지 못하고 업주에게, 정치인과 행정가에게 마지막까지 이용만 당했다. 인간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김성호 인천본사 사회부 차장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