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1901001386800069361.jpg
배재흥 사회부 기자
경기도의 '지역화폐' 정책은 말 그대로 '블록버스터' 급이다.  

 

지난해 전국에서 발행된 지역화폐는 약 3천100억원, 내년 경기도에서 유통될 지역화폐가 약 5천억원. 국내 지역화폐 시장의 일대 변혁을 가져올 '역대급' 규모다.
 

도는 내년 '청년배당', '산후조리비' 등 복지수당을 지역화폐로 지급할 계획이다. 지역화폐에 자연스럽게 노출된 도민들이 이를 다시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적극 사용할 수 있는 매끄러운 유통구조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벌써부터 장사를 마친 지역상인들이 법정화폐 외 수북한 지역화폐를 세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그러나 도와 각 시·군은 더 이상 지역화폐의 규모가 아닌 '콘텐츠' 측면의 고민을 할 필요가 있다. 아무리 몸값이 높은 유명 배우들이 모였어도, 스토리가 없는 영화는 망하기 마련이다. 현재 지역화폐가 처한 상황이 딱 그렇다.
 

도와 각·시군은 지역화폐로 지역상권을 살리겠다는 한 가지 목표에 '규모를 키워서' 라는 방법을 제외하곤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어떻게' 라는 심도 있는 고민을 하지 않은 것이다. 물론, 일부 도내 지자체들이 모바일 형태의 지역화폐 결제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플랫폼의 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편의라는 '곁가지'일 뿐, 지역화폐 활성화의 본질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지역화폐에 '상상력'을 더하라고 주문한다. 각 지자체가 가진 저마다 다른 특색을 지역화폐에 입히라는 것이다. 기발한 아이디어가 아니다. 가령, 레저산업이 발달한 양평군의 경우 관련 산업에 특화된 지역화폐를 고민해 보는 식이다. 도와 각 시·군의 이 같은 고민이 깊어지면 '전통시장'이 주로 떠오르는 지역화폐의 고리타분한 인식 자체도 점차 변화할 것이다.
 

어쨌든 도의 지역화폐 정책은 내년 개봉을 앞두고 있다. 도의 정책이 단발성에 그치지 않길 바라며, 콘텐츠를 갖춘 '지역화폐 블록버스터' 속편을 기대한다. 

 

/배재흥기자 jh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