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보수 명예직 어린이집 대표 해명
8월 행안부 금지사안 새 유권해석
한시적 상황일뿐 최근 매각후 손떼
건물융자금 상환도 오해 원상복구
김영희 오산시의회 부의장이 자신을 향한 부정 겸직논란(11월 21일자 6면 보도)에 대해 "법적으로 문제는 없지만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시민들께 심려를 끼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뜻을 밝혔다.
김 부의장은 지난 23일 경인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제7대 시의원 재직 당시 어린이집 '원장'이 아닌 무보수 명예직인 '대표'는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유권해석을 받은 뒤 지금까지 시의원직을 유지해왔다"며 "그러나 지난 8월 행정안전부가 '지방의원이 정부 보조금을 받는 어린이집의 원장은 물론 대표도 겸직 금지 사안에 해당한다'는 유권해석을 새롭게 내놓으면서 대표 겸직으로 인한 논란이 불거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새로운 방침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저는 겸직을 하지 않기 위해 어린이집을 즉시 매물로 내놨고, 새로운 대표에게 어린이집을 넘긴 뒤 11월 6일 어린이집에서 완전히 물러났다"며 "새 대표는 저와 친인척도 아니고 지인도 아니다. 저는 어린이집 사업에서 손을 뗐다. 다만 어린이집을 정리하기 위해 매물로 내놓은 8월부터 11월 초까지 부득이하게 대표를 겸직할 수밖에 없었던 것인데 이 시기를 콕 집어서 색안경을 끼고 보는 시선에 많이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김 부의장은 또 어린이집 자금 1천만 원을 건물융자금으로 상환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했다.
그는 "5년 전 화재보험 만기환급금 및 보육료, 지원금 등을 모아 어린이집 건축융자금을 상환한 적이 있는데, 이 돈으로 이자는 갚아도 되지만 원금상환을 하면 안 된다는 시 관계자의 지적을 받은 뒤 곧바로 1천만 원을 원상복구 시켰다. 통장거래 내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는 즉시 확인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지적한 것처럼 불법으로 어린이집 대표직을 유지한 것도 아니고, 부적절하게 보조금을 유용한 적도 없으나 자극적인 단어를 사용해 본인을 몰아세운 것에 대해 심히 유감이다. 하지만 과정이야 어찌 됐건 저를 시의원으로 당선시켜주신 오산시민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한 점은 사실이다"며 "모든 오해도 결국은 저에게서 비롯된 것인 만큼 앞으로 자숙하며 더욱 시정에 매진하고 싶다. 시의회 차원에서 윤리위원회를 개최한다면 전적으로 응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오산/김선회기자 ks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