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시민·어민 나서 복귀이끌어
중부해경청·서해5도특경·인천해경…
4개 기관 집결 '구조·단속역량' 강화

해양환경公·선박연구소등 관련기관
이전통해 '해양도시 발돋움' 목소리


해양경찰은 2014년 4월 세월호 사고의 책임을 지고 같은 해 11월 해체됐다.

국민안전처로 편입돼 해양경비안전본부로 명칭이 바뀐 해양경찰청은 2016년 8월 세종시로 떠났다. 지난해 7월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부활한 해경청은 세종으로 이전한 지 2년 3개월 만에 인천으로 돌아오게 됐다.

해경 본청이 인천 송도로 돌아오면서 해경의 주요 역량이 인천에 집결될 것으로 보인다. 해경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해경과 업무 연관성이 있는 정부 기관들을 인천으로 이전·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 바다를 떠난 해경, 돌아오기를 바랐던 인천시민들


1953년 창설한 해경은 부산에 있다가 1979년 인천 중구 북성동 연안부두로 이전했다. 인천에 터를 잡은 해경은 해양경찰청으로 이름을 바꾸는 등 확장을 거듭했고, 2005년부터는 송도국제도시에 청사를 신축해 사용했다.

2014년 해경본부가 세종시로 이전할 당시 "배가 산으로 가서 무슨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는 비판이 인천 지역사회에서 강하게 제기됐다.

인천지역 국회의원 12명은 지난해 1월 해경을 독립기구로 부활한 뒤, 인천으로 환원하자는 내용의 공동결의문을 발표했다.

인천 시민사회단체·어민단체·경제단체 등 40개 단체로 구성한 '해양경찰 부활·인천 환원을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도 이 같은 내용의 공동결의문을 냈다.

인천시민의 노력으로 해경은 인천으로 돌아오게 됐다. 조현배 해경청장은 지난 14일 새얼아침대화 강연에서 "해경 부활과 인천 환원에 힘써주신 인천시민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며 "인천시민이 기대하는 든든한 해양경찰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 해경 역량 인천 집결


해경 본청이 인천으로 돌아오면서 인천은 해양경찰기관 4개를 품은 도시가 됐다. 해경 본청, 2014년 해경 해체와 함께 설립된 중부지방해양경찰청(당시 중부해양경비안전본부), 2016년 만들어진 서해5도특별경비단, 인천해양경찰서 등 4개 기관이 인천에 자리잡게 됐다.

이에 따라 각 조직이 과거보다 더욱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해경의 지휘·구조·단속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중부해경청을 다른 지역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지만, 해상 치안 수요가 많은 인천에 계속 머물러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강동준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이 최근 작성한 '인천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입지 제언' 보고서를 보면, 2013~2017년 중부해경청 관할지역(인천·평택·태안·보령 해역)에서 발생한 해상사고 건수는 인천 해역이 107건으로 가장 많다.

■ 해양 관련 기관 유치해야


인천은 전국 단위 해양 기관이 부족하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부산에 설립됐으며, 인천에 있던 국립해양조사원도 2012년 부산으로 떠났다.

인천이 해양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선 일단 해경의 업무와 밀접한 기관을 유치해야 한다는 게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의 주장이다.

해양 방제 업무를 담당하는 해양환경공단, 해상사고 대응과 해양 교통체계를 연구하는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산하 기관인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이 유치 대상으로 거론된다.

인천항발전협의회 관계자는 "우선 해경 업무와 관련이 있는 기관을 인천에 유치해 '해경타운'을 조성해야 한다"며 "관련 기관들이 인천에 집결하게 되면 민간 기관들도 자연스럽게 인천으로 이전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