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예산받아 센터운영
협업·컨설팅등 민간역량 태부족
인천 창업기업들이 '탈(脫)인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인천지역 창업보육기관들의 후진적인 지원 시스템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천편일률적 지원 프로그램으로, 공공 영역에서 제공하는 창업보육시스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이하 인천TP)는 인천 미추홀구 인천IT타워(3~16층)와 제물포스마트타운(8~9층)에서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80여 개 창업기업이 인천TP 창업보육센터에서 보육지원을 받고 있다.
인천TP는 이들에 저렴한 비용으로 사무 공간을 제공하고 시제품 제작, 전시회 참가, 경영·기술, 지식재산권 획득, 회의실 사용 등을 지원한다.
시제품 제작과 컨설팅, 보육 공간 제공을 중심으로 하는 이들 지원 사항은 인천대, 인하대, 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인천지회 등에서 운영하는 창업보육센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들 기관의 창업보육센터는 정부와 지자체 예산을 지원받아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공공기관 중심의 보육지원시스템은 인천지역 창업보육센터가 획일적이고 기초적인 수준의 지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손꼽힌다.
인력 채용과 협력업체 네트워킹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인천을 등지는 창업기업의 목소리를 반영하기에도 부적합하다.
초기창업자 등을 상대로 컨설팅과 투자를 한 번에 지원하는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는 11월 현재 인천에 3곳에 불과하다.
서울(68곳), 경기(9곳), 부산(8곳), 대구(6곳), 대전(12곳) 등 다른 광역시에 비해 크게 적다. 다양한 분야에서 독립적인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한 공간에 모여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의견을 나누는 협업 공간인 민간 '코워킹 스페이스'도 1곳에 불과하다.
공공 주도 보육지원시스템의 한계를 넘어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민간 보육 역량이 크게 부족하다는 것이다.
인천연구원 서봉만 연구위원은 "공공 영역에선 시제품 제작을 위해 단순히 공간과 비용만 지원한다면, 민간 영역에서는 시제품 제작 시작 단계부터 양산에 유리한 디자인 방향을 고민하고 공간 내에서 다양한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돕는다"며 "그 차이는 분명하다"고 했다.
그는 "지금은 창업기업들이 필요한 게 뭔지,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의 다양성이 결여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며 "액셀러레이터 등 민간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 창업기업과 투자자와의 접촉면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