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에 대해 3~5년 뒤 화물차 통행 제한이 실시될 예정인 가운데 4일 인천시 남구 주안산단 고가교 위에서 본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도로 위로 화물차량들이 지나고 있다.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좁고 긴 도로에 '도심 산단' 위치
서울처럼 일괄적 제한도 어려워
운송사업협회 "차량 쏠림" 경고
市 전담부서없어 대책 서둘러야

유명무실한 인천의 화물차 통행제한구역을 경찰이 보완하겠다고 나선 이유는 교통 사망사고 감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인천시 입장에서는 시민 안전과 함께 도시·교통·물류 계획 등 종합적 측면에서 이 문제를 다뤄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전담하는 부서가 없다. 중장기 대책 마련 없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으로 화물차 통행을 제한하게 되면 '물류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점쳐지는 상황이다.

■ "화물차가 갈 만한 도로가 없다"

인천은 공항, 항만이 있고 산업단지가 많아 화물차 통행량이 다른 도시보다 많다. 다른 도시들처럼 산업단지가 도시 외곽에 몰려있지 않고 도심 곳곳에 퍼져 있다.

산업단지 주변 경인고속도로 도화IC, 가좌IC, 부평IC, 제2경인고속도로 남동IC 등이 화물차의 주요 이동 통로다. 공항·항만의 성장과 함께 인구가 증가하면서 화물차와 승용차가 섞여 혼잡을 빚는 구간이 늘었다.

인천연구원이 지난해 기획연구과제로 발표한 '인천시 화물자동차 운행특성분석' 결과 백범로, 인중로, 서해대로, 드림로, 중봉대로, 봉수대로 구간은 화물차뿐 아니라 전체 차량 통행량이 많다.

화물차 통행제한구역이 구역(면)으로만 돼 있지 않고 구간(선)으로도 지정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러한 도시구조 때문에 인천은 서울시와 같은 전면 통행제한 정책 시행이 불가능하다. 서울시는 도심권역 내(4대문 안) 3.6t 이상 화물차량의 진입을 금지하고 있다.

인천연구원 김종형 교통물류연구실장은 "전국에서도 인천처럼 화물차 이동 패턴이 복잡한 곳을 찾기 힘들다"며 "화물차를 도시 외곽으로 우회시켜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갈만한 도로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막을 수 있으면 막아 봐라"


인천연구원 연구결과 인천에서 '화물차 비율이 높고 중대형 차량이 많고', '일평균 속도가 높고', '과속이 많고', '화물차량 이동 경로 중 많이 이용하는' 4가지 항목에 모두 포함되는 도로구간은 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중봉대로, 봉수대로 4곳이다.

동서축이 짧고 남북축이 긴 인천에서 경인고속도로는 중봉대로, 봉수대로와 함께 화물차 통행량의 상당부분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문제는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추진하는 인천시가 이 도로의 화물차 통행 제한을 추진하는 데 있다.

화물차 우회 대책 없이 경인고속도로의 통행을 막으면 중봉대로와 봉수대로의 통행량이 수용하기 힘들 정도로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인천시 화물자동차운송사업협회 박요화 전무는 "대안 없이 경인고속도로 화물차 진입을 막겠다고 해도 막을 수 없을 것"이라며 "물류 이동 대책 없이 막기만 하면 차량이 한쪽으로 쏠려 대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 화물차 통행 제한 마스터플랜 수립해야


인천시에서 화물차 통행제한구역 정책과 직접 관련된 부서는 교통국의 교통정책과, 택시화물과, 교통정보운영과 등 3곳이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우회 도로 건설 문제 등을 감안한다면 도시재생건설국의 도로과, 고속도로재생과 등 2곳이 담당 부서다.

이들 5개 부서 중 어느 곳도 화물차 통행제한구역 확대 이후 중장기 대책을 갖고 있지 않다. 화물차 통행제한구역 정책이 사고 예방으로 시민 안전을 지키면서 화물차 물류 기능을 유지하려면 인천시가 나서 관계기관과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시 관계자는 "화물차 관련 마스터플랜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고, 관련 내용을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