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는 그동안 시장이 바뀔 때마다 시민들에게 바다를 돌려주겠다는 구호 아래 여러 친수공간 확대 정책을 추진했지만 안보를 명분으로 내세운 군(軍)과의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인천 바다가 온전히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최근 국방부는 인천 도심 해안가를 둘러싸고 있는 해안철책 44㎞를 철거하겠다고 발표했다. 인천 지역 전체 해안 철책 길이의 70%가 사라지게 되는 것으로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해안친수공간 조성 사업도 탄력을 받게 됐다. 국방부는 2021년까지 인천 지역 해안 철책선 44㎞를 포함해 전국 해안가를 가로막고 있는 철책 284㎞를 철거한다는 방침이다.
강화군과 옹진군을 제외한 인천 도심 지역의 해안선 길이는 212㎞로 이 중 63.6㎞가 군(軍) 철책으로 막혀 있다. 국방부가 63.6㎞의 인천 해안철책선 중 70%에 해당하는 44㎞를 제거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박남춘 인천시장 취임 이후 태스크포스(TF)까지 구성해 추진하고 있는 해안친수공간 조성 사업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방부가 철책 철거 의지를 밝힌 만큼 인천시도 앞으로 인천의 바다를 어떻게 열린 공간으로 탈바꿈시킬지 무게 있는 고민을 해야 한다. 해안선 개방에 따른 친수공간 조성이 다가 아니라 매립으로 사라져 버린 과거의 해안선을 복원하고 체계적으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사업 등 외연을 넓혀 큰 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다.
정권이 바뀌고 모처럼 찾아온 남북 훈풍이 인천 해안을 새롭게 탈바꿈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인천시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다음 세대까지 이어질 수 있는 해양 도시 인천의 청사진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김명호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