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 노선(수원~양주 덕정)이 조기 착공된다. 또 신안산선도 조기 착공되며 오랜 기간 표류했던 신분당선 연장(광교~호매실)도 본격 추진된다.
정부는 19일 이같이 내용 등이 포함된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수도권 3기 신도시 4곳의 입지와 함께 발표된 교통개선 대책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를 중심으로 짜여졌다. 우선 정부는 교통 개선을 위해 GTX-A(화성 동탄~파주 운정)·C(수원~양주 덕정) 노선을 조기 착공하기로 했다. GTX-C노선의 경우는 내년 중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GTX-B(인천 송도~남양주 마석)노선도 신속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신안산선도 조기 착공하기로 했다. 안산·시흥과 여의도를 잇는 신안산선은 총 사업비 3조 3천465억 원이 투입되며 내년 중 착공 후 5년 간 공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정부는 신분당선 연장(광교~호매실)도 신속히 추진키로 했다. 입주민 분담금 문제와 관련된 신분단선 광교~호매실 연장 사업은 예비타당성 규정 개선을 통해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계양-강화 고속도로도 신속히 추진키로 했고 외곽순환도로 등 순환망도 확충한다.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전 구간을 2025년까지 개통하며, 서부(서창~김포)·동부(판교~퇴계원) 병목구간을 복층화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 밖에 위래 트램과 7호선 연장 등도 추진하며, 3호선 연장 역시 추진해 남·북·서북부 지역으로 광역교통 인프라를 보강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인천시는 수도권 3기 신도시로 남양주, 하남, 인천계양, 과천 등 4곳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경기도 3곳, 인천 1곳으로 남양주 왕숙(1천134만㎡)·하남 교산(649만㎡)·과천(155만㎡)·인천계양 테크노밸리(335만㎡)가 대상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계양-강화 고속도로도 신속히 추진키로 했고 외곽순환도로 등 순환망도 확충한다.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전 구간을 2025년까지 개통하며, 서부(서창~김포)·동부(판교~퇴계원) 병목구간을 복층화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 밖에 위래 트램과 7호선 연장 등도 추진하며, 3호선 연장 역시 추진해 남·북·서북부 지역으로 광역교통 인프라를 보강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인천시는 수도권 3기 신도시로 남양주, 하남, 인천계양, 과천 등 4곳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경기도 3곳, 인천 1곳으로 남양주 왕숙(1천134만㎡)·하남 교산(649만㎡)·과천(155만㎡)·인천계양 테크노밸리(335만㎡)가 대상이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