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7년 중심지 개항장일대 옮겨져
'구획' 거주 최초 시가지 개발계획
부평·주안공단에 구월동 택지개발
2003년 송도국제도시 '성장 전환점'
계양TV '자족도시' 새 모델 '주목'


정부가 수도권 3기 신도시로 인천 '계양테크노밸리'를 선정하면서 인천이 도시 팽창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았다. 바닷가의 작은 마을에서 인구 300만 명의 대도시로 성장한 인천이 또다른 성장의 길목에 서게 됐다.

오늘날 '신도시'라고 할 수 있는 인천 시가지 개발 계획의 시작은 1887년 3월 4일 조선 정부와 미국, 독일, 영국, 일본, 중국(청)이 승인한 '제물포 조계지'다.

원래 인천의 중심지는 인천도호부청사가 있는 문학·관교동 일대였다. 1883년 개항 이후 인천의 무게 중심이 개항장으로 옮겨졌다.

당시 개항장에 모여든 외국인들은 각 나라별로 구획(조계지)을 나눠 살았다. 제물포조계지도를 보면 대지와 도로구획, 영사관, 공원, 묘지 등 도시시설이 지금의 중구청을 중심으로 반듯하게 배치돼 있다.

강제병합 이후 조계지는 폐쇄됐고, 1937년 4월 12일 오늘날 인천 도시 공간의 틀을 만든 최초의 법정도시계획이 수립됐다. 바로 조선총독부 263호 고시 '인천시가지 계획구역'이다.

인천항의 교역량이 커지자 일자리를 찾으러 전국에서 사람이 몰려들었고, 인천의 인구는 1924년 4만2천명에서 1934년 7만5천명으로 늘었다.

통제 없이 건축되는 가옥에 도로, 하수 등 기반시설을 감당하지 못하자 총독부는 통제력을 가진 도시 계획을 짰다. 계획 면적은 2천758만㎡로 당시 인천부 면적의 3.6배에 달했고, 계획 인구를 20만명으로 늘리는 큰 팽창이었다.

또 교통체계를 구축하는 도로망 정비와 토지구획 정리도 함께 진행했다. 시가지계획은 대화지구(숭의동), 송림지구, 부평지구 등 3곳에서 먼저 시작됐다.

한국전쟁이 끝난 뒤 인천에는 정부의 경제발전 5개년 계획에 따라 부평과 주안에 공업단지가 형성됐고 그 주변으로 주거지역이 들어섰다.

1968년 경인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주변 지역의 토지구획정리 사업도 함께 진행됐고, 전쟁 기간 주춤했던 해안매립사업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1980년대 진행된 택지개발사업은 구월동이 인천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하는 계기가 됐다.

당시 택지개발 규모가 가장 컸던 구월지구(125만㎡)와 연수지구(613만㎡)는 인천의 도시 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구월지구로 시청이 이전했고, 연수지구에는 남동산단 배후단지로서 서민에게 공급하는 아파트가 조성됐다. 이어 논현2지구, 서창2지구, 구월보금자리지구, 검단신도시 등이 택지개발사업으로 진행됐다.

2003년 전국 최초로 인천 송도·청라·영종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서 '국제도시'라는 이름의 새로운 형태의 신도시가 만들어졌다. 외국 기업과 첨단 기업을 유치하고 배후 시설로 주거지를 만들었다.

지난 19일 수도권 3기 신도시로 선정된 계양 테크노밸리는 첨단산업단지와 주거단지가 1대 1 비중으로 결합한 1만7천 가구 규모의 '자족도시'로 조성된다.

수요에 맞춰 형성돼 왔던 베드타운 개념의 신도시라기보다는 산업과 주거를 한꺼번에 집어넣은 새로운 모델의 도시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