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집을 사거나 전세금 마련 등을 위해 퇴직연금을 중도 인출한 근로자가 1만명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퇴직연금통계' 보고서를 보면 2017년에 퇴직연금을 중도인출한 이들은 5만1천782명으로 2016년보다 1만1천691명(29.2%) 증가했다.
중도인출 금액은 1조7천46억원으로 2016년보다 4천728억원(38.4%) 늘었다.
중도인출의 이유로는 63.6%가 주택 구매(41.3%)나 임차(22.3%) 순으로 나타났다.
용도를 금액 기준으로 봐도 중도인출액 중 41.8%(7천122억원)가 주택구매용, 15.8%(2천701억원)가 주거 임차용 자금이었다.
중도인출자를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46.2%로 제일 많고 40대(32.3%)가 두 번째였지만 인출액 기준으로는 40대가 전체의 36.5%를 차지해 가장 규모가 컸다.
작년 퇴직연금 적립금액은 총 167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5.5%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확정급여형(66.4%), 확정기여형(24.0%), 개인형 퇴직연금(9.1%), IRP특례(0.5%) 순이었다.
퇴직연금제도 가입 근로자는 전년보다 4.2% 증가한 579만7천명으로, 가입 대상 근로자 1천83만명 중 543만8천명이 들어 가입률은 50.2%였다.
유형별로 보면 전체 가입자 중 확정급여형에 가입한 근로자는 53.4%였다. 확정기여형은 43.8%, IRP특례는 1.1%였다.
연령대별 가입률은 30대(58.6%), 40대(52.9%), 20대(48.5%) 순이었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퇴직연금통계' 보고서를 보면 2017년에 퇴직연금을 중도인출한 이들은 5만1천782명으로 2016년보다 1만1천691명(29.2%) 증가했다.
중도인출 금액은 1조7천46억원으로 2016년보다 4천728억원(38.4%) 늘었다.
중도인출의 이유로는 63.6%가 주택 구매(41.3%)나 임차(22.3%) 순으로 나타났다.
용도를 금액 기준으로 봐도 중도인출액 중 41.8%(7천122억원)가 주택구매용, 15.8%(2천701억원)가 주거 임차용 자금이었다.
중도인출자를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46.2%로 제일 많고 40대(32.3%)가 두 번째였지만 인출액 기준으로는 40대가 전체의 36.5%를 차지해 가장 규모가 컸다.
작년 퇴직연금 적립금액은 총 167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5.5%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확정급여형(66.4%), 확정기여형(24.0%), 개인형 퇴직연금(9.1%), IRP특례(0.5%) 순이었다.
퇴직연금제도 가입 근로자는 전년보다 4.2% 증가한 579만7천명으로, 가입 대상 근로자 1천83만명 중 543만8천명이 들어 가입률은 50.2%였다.
유형별로 보면 전체 가입자 중 확정급여형에 가입한 근로자는 53.4%였다. 확정기여형은 43.8%, IRP특례는 1.1%였다.
연령대별 가입률은 30대(58.6%), 40대(52.9%), 20대(48.5%) 순이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