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3001002021900097581
김연태 정치부(서울본부) 차장
올 한해 국회에 던져진 화두는 '협치'였다. 대화와 타협을 통해 여야 간 엉킨 실타래를 풀어보자며 문희상 국회의장이 내건 비전이다. 1%대의 신뢰도로 국민이 뽑은 신뢰도 최하위 기관에 예상처럼 국회가 뽑히면서 통합의 묘를 살려내 보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다.

그럼에도 올 한해 국회에 대한 언론보도 중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다른 무엇도 아닌 '대치'였다. '치열한 공방', '날 선 대립각', '격돌' 등의 표현이 대표적이다.

멀리 들여다볼 필요도 없다. 최근 12월 임시국회만 봐도 여야 간 대치가 얼마나 심각했는지는 여실히 드러난다.

사립유치원 비리 근절을 위한 유치원 3법을 둘러싸고 여야가 대치한 기간만 수개월이다. 그러고도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 채, 내년으로 개정안 처리를 미뤘다. 우리 자녀가 다니는 유치원의 비리를 막아달라 소리치던 학부모들의 울부짖음도 이들에겐 그저 공허한 메아리였던 모양이다.

'위험의 외주화'를 근절하기 위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도 마찬가지였다. 발단이 된 '고 김용균씨'의 어머니가 국회를 찾아 법안을 통과시켜달라고 눈물로 호소했지만, 여야는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다가 막판에 이르러서야 겨우 이견에 합의하고 연내 처리를 완수할 수 있었다. 여기에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바탕으로 한 선거제 개혁은 여야 5당이 각 당의 '손익계산'만 따지면서 여야가 대립하는 기폭제가 되기도 했다.

이런 과정에선 '협치하자'며 만든 여·야·정 상설 협의체도 별 필요가 없었다. 12월 임시국회 내내 여야는 정당별 '셈법'에 치우쳐 '협치'는 찾아볼 수도 없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이 같은 모습을 담은 2018년은 내일이면 또 다른 과거로 기억된다. 그리고 2019년은 달라져야 한다. '민생을 살피는·미래를 준비하는 국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차근차근 바뀐 시대상이 녹아들도록 해야 한다.

더 이상 국민에게 '대치'로 물든 정치 행태를 용납할 아량은 없다. 하루 앞으로 다가온 기해년에는 국회도 시대의 요청을 받아들여 '협치와 대치'의 '한끝 차이'를 극복해 나가길 기대한다.

/김연태 정치부(서울본부) 차장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