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2월 13일 발표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에 따르면,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목표를 2만개에서 3만개로 확대하여 추진키로 했다. 이에 맞춰 2019년부터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스마트공장의 신속한 고도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지원규모, 방식도 대폭 개선한다고 발표했다.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비용은 평균 2억 7천만원이다. 2019년부터는 기초단계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을 위한 정부지원금을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고도화를 위한 지원금은 1억원에서 1억 5천만원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스마트공장 기초단계를 구축한 기업이 당해 연도에 고도화를 추진할 경우에도 지원키로 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려는 중소기업의 자금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설비 투자자금을 산업은행 1조원, 기업은행 5천억원, 중소기업진흥공단 5천억원 등 총 2조원과 스마트공장 전용 펀드 3천억원을 조성키로 하였다. 또한 기술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위해 대기업 퇴직 우수 기술전문가를 중소기업에 파견하는 지원 사업을 신설하여 스마트공장 구축 컨설팅, 기술지원, 사후관리, 노하우 전수 등의 역할을 수행토록 한다.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전문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거점 특성화고 20개, 전문학사 과정의 스마트공장 계약학과 4개, 산학융합지구 대학에 스마트랩 2개 등을 선정한다. 선정된 학교에는 스마트공장 운영, 공정설계 등을 위한 실습 공간과 장비 구축 등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제도 개편이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려는 중소기업에게 가뭄의 단비가 되기를 기대한다.
한편, 스마트공장을 구축하여 성과를 내는 중소기업을 보면 몇 가지 성공 요인을 찾을 수 있다.
첫째는 경영자가 스마트공장 추진을 적극 지원한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제조현장에서는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다. 기존의 인력에게 스마트공장 추진을 위한 추가적인 부담을 지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임직원이 주도적으로 스마트공장을 추진하기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 경영자의 강력한 추진력과 인센티브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는 장기적 목표를 설정하고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처음부터 스마트공장의 수준을 높이 설정하면 제한된 인력으로 생산현장과 맞지 않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에 버거울 수 있다. 따라서 공장의 상황에 맞도록 일정을 조율하고 단계를 밟아 간다.
끝으로, 셋째는 경영자의 자녀 등 예비 후계자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예비 후계자는 기업의 경영 상태와 제조 현장의 문제점을 잘 파악할 수 있어 스마트공장 구축의 방향을 제대로 설정한다. 여기에 경영자의 넉넉한 후원도 한 몫으로 더해진다.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에 전담 인력에 대한 신뢰와 지원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면 품질관리가 용이해지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짐으로 고객 수가 늘고 생산량이 증가하는 성과가 일반적이다.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금년도 경기지역에 750여개 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2017년 535개 기업 대비 40% 이상 증가한 실적이다. 이렇게 높은 증가율은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의 매출증대 성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스마트공장 구축이 품질수준 제고, 생산성 향상, 매출 및 수출 증대 등의 성과를 가져올지 분석하고 예측하여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중소기업 경영자의 몫이다.
/이세형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제품성능기술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