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0501000328900014061.jpg
경기도가 올해 주거취약계층 708가구의 집을 개보수하는 사업을 진행한다. 사진은 경기도가 지원해 개보수한 집의 시공 전(왼쪽)과 시공 후 모습. /경기도 제공

경제 형편이 어려워 낡은 집에서 살고 있는 주거 취약계층을 위해 경기도가 올해도 주택 개보수 사업을 진행한다.

주 대상은 저소득층이나 중증 장애인, 농어촌 장애인 등으로 올해 지원 대상은 총 708가구다.

5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해 햇살하우징, G-하우징, 중증·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사업 등 다양한 주택 개보수 사업을 진행한다.

경기도는 우선 22억5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450가구를 대상으로 '햇살하우징' 사업을 펼친다. 햇살하우징 사업은 취약계층 주택의 오래된 보일러와 단열 효율이 낮은 창호를 교체하고 LED 조명을 설치하는 등 주택의 에너지효율을 향상하는 개보수 사업이다. 1가구당 개보수 비용은 500만 원이다. 햇살하우징 사업은 2013년 시작해 꾸준히 계속하고 있다. 지금까지 1천220가구가 혜택을 봤다.

경기도는 또 저소득층 110가구를 대상으로 'G-하우징' 사업을 진행한다. G-하우징 사업은 화장실, 부엌, 거실, 천장 등 일반적인 주택 개보수를 제공하는 것인데, 민간건설사의 재능기부 형태로 이뤄진다. 각 시군이 사업대상자와 사업참여 희망 민간건설사를 조사해 연결해주면 건설사가 사업대상자를 찾아 개보수 공사를 진행한다. 2007년 이후 최근까지 모두 499가구를 개보수했다.

경기도는 아울러 주거 취약자가 많은 중증장애인과 농어촌장애인을 대상으로 주택개조사업도 추진한다. 장애인이 거주하는 주택에 출입문과 바닥, 욕실 보수 등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2016년부터 최근까지 모두 239가구가 혜택을 봤다. 올해는 중증장애인 110가구, 농어촌장애인 38가구를 지원한다. 사업참여 희망 가구는 거주하는 시·군의 주민센터나 시·군 담당 부서에 문의하면 된다.

신욱호 경기도 주택정책과장은 "저소득층의 열악한 주택은 단지 생활의 불편뿐 아니라, 냉난방 비용 등의 증가 등으로 이어져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며 거주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면서 "저소득층의 삶의 질 향상과 안전 확보를 위해 주택 개보수 사업을 계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