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사 속에서 수많은 영웅들과 함께 눈부신 활약을 하던 책사(策士)들이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대중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은 역시 제갈량(諸葛亮)이 아닌가 한다. 제갈량은 신출귀몰한 전략으로 촉한(蜀漢)의 유비(劉備) 군을 연전연승케 하며 삼국지를 읽는 독자들에게 수많은 카타르시스를 제공했다.
김선회 지역사회부(오산) 차장
그에 반해 제갈량의 최대 라이벌이라 할 수 있는 위(魏)나라의 사마의(司馬懿)는 제갈량의 지략에 2% 부족한 듯한 모습을 보이며 주요 전투에서 번번이 패배하곤 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해 삼국지에 등장하는 위나라의 조조, 촉의 유비, 오나라의 손권 중에서 삼국 통일의 대업을 이룬 사람은 없다. 세명 모두 평생 동안 천하 통일을 꿈꿨지만 모두 뜻을 이루지 못 한 채 눈을 감았고, 제갈량 역시 전장에서 죽도록 일만 하다가 결국 병사하고 말았다. 그렇다면 삼국을 통일한 사람은 누구인가? 그것은 진(晉)나라를 세운 사마의의 손자 사마염(司馬炎)이다. 사마염이 명목상으로 3국을 통일하긴 했지만 그 기틀을 만든 사람은 단연코 사마의라 할 수 있다.
제갈량과 사마의 둘 다 각자의 나라에서 잘나갔기 때문에 정적들의 시기와 모략이 난무했다. 제갈량은 그럴 때마다 말로써 자신의 무결함을 증명해 보였고, 반대로 사마의는 수차례 권력을 박탈당하는 수모 속에서 병환 등을 핑계로 은거하며 때를 기다렸다. 그러다 쿠데타를 일으켜 조조의 후손들을 평정한 뒤 위나라의 권력을 잡았고, 결국 사마(司馬) 씨 집안은 위·촉·오 3국을 집어삼키며 천하를 통일했다. 사마의의 최대 장점은 정적들의 간계에 정면으로 맞서지 않고 수십 년간 내공을 쌓으며 끝까지 버틴 데 있다.
새해 대부분의 기관과 조직에서 인사가 이뤄졌다. 승진이 되지 않거나 원치 않는 인사발령이 난 사람들은 대부분 이를 남 탓으로 돌리며 서로 헐뜯기 바쁘다. 하지만 그럴 필요 없다. 아직 자신의 때를 만나지 못해서 그럴 수 있다. 사마의처럼 끝까지 버틴 사람이 최후의 승자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