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북한 평양 방문이 가시화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중국 베이징 방문에 이어 시 주석의 평양 방문이 이뤄질 경우 북중간 강력한 연대를 과시하며 향후 한반도 정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북한 조전중앙통신은 10일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및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 소식을 전하면서 "김정은 동지께서는 습근평(시진핑) 동지가 편리한 시기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공식방문하실 것을 초청하셨으며 습근평 동지는 초청을 쾌히 수락하고 그에 대한 계획을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예상돼 왔던 시 주석의 평양 방문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조선중앙통신은 시 주석의 평양 방문 일정 등 구체적인 계획은 특별히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에 대한 계획을 통보했다'는 내용으로 볼 때 일정 등에 대한 협의가 이미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외교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북중 수교 70주년을 맞는 오는 7월께 답방할 가능성을 내놓고 있다.
시 주석이 평양을 방문할 경우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하는 것이어서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은 부주석을 지내던 2008년 6월 평양을 방문해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동한 이후 북한을 방문하지 않았다.
조선중앙통신은 아울러 지난 8~9일 베이징에서 진행된 북중 정상회담과 관련 "공동의 관심사로 되는 국제 및 지역 문제 특히 조선반도 정세관리와 비핵화 협상 과정을 공동으로 연구 조종해나가는 문제와 관련하여 심도 있고 솔직한 의사소통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이 2차 북미정상회담과 비핵화 관련 논의를 진행했으며, 협상 과정에 중국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지를 다졌음을 시사한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조미(북미)관계 개선과 비핵화 협상 과정에 조성된 난관과 우려, 해결전망에 대하여 말씀하셨다"고 덧붙여 북미협상이 어려운 국면에 처해 있으며 북한이 해결 절차에 대해 고심하고 있음도 시사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와 관련해 시 주석이 "조선 측이 주장하는 원칙적인 문제들은 응당한 요구이며 조선 측의 합리적인 관심 사항이 마땅히 해결되어야 한다. 유관측들이 이에 대해 중시하고 타당하게 문제를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라고 북한측의 입장을 지지했음을 강조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중국 베이징 방문에 이어 시 주석의 평양 방문이 이뤄질 경우 북중간 강력한 연대를 과시하며 향후 한반도 정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북한 조전중앙통신은 10일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및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 소식을 전하면서 "김정은 동지께서는 습근평(시진핑) 동지가 편리한 시기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공식방문하실 것을 초청하셨으며 습근평 동지는 초청을 쾌히 수락하고 그에 대한 계획을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예상돼 왔던 시 주석의 평양 방문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조선중앙통신은 시 주석의 평양 방문 일정 등 구체적인 계획은 특별히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에 대한 계획을 통보했다'는 내용으로 볼 때 일정 등에 대한 협의가 이미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외교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북중 수교 70주년을 맞는 오는 7월께 답방할 가능성을 내놓고 있다.
시 주석이 평양을 방문할 경우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하는 것이어서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은 부주석을 지내던 2008년 6월 평양을 방문해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동한 이후 북한을 방문하지 않았다.
조선중앙통신은 아울러 지난 8~9일 베이징에서 진행된 북중 정상회담과 관련 "공동의 관심사로 되는 국제 및 지역 문제 특히 조선반도 정세관리와 비핵화 협상 과정을 공동으로 연구 조종해나가는 문제와 관련하여 심도 있고 솔직한 의사소통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이 2차 북미정상회담과 비핵화 관련 논의를 진행했으며, 협상 과정에 중국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지를 다졌음을 시사한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조미(북미)관계 개선과 비핵화 협상 과정에 조성된 난관과 우려, 해결전망에 대하여 말씀하셨다"고 덧붙여 북미협상이 어려운 국면에 처해 있으며 북한이 해결 절차에 대해 고심하고 있음도 시사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와 관련해 시 주석이 "조선 측이 주장하는 원칙적인 문제들은 응당한 요구이며 조선 측의 합리적인 관심 사항이 마땅히 해결되어야 한다. 유관측들이 이에 대해 중시하고 타당하게 문제를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라고 북한측의 입장을 지지했음을 강조했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