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적 특수성에 수질생태 '방치'
市, 3월 체계적 보전안 용역 착수


인천시가 군사적 특수성 등으로 수질생태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한강하구의 체계적 보전 방안을 찾기 위한 용역에 착수한다.

인천시는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용역을 오는 3월부터 진행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시는 환경부로부터 2억2천만원의 예산(한강수계관리기금)을 지원받아 용역을 진행하고 경기도, 서울시 등이 참여하는 공동 워크숍도 오는 10월 실시할 예정이다.

한강하구 수역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남북이 대치하고 있어 분쟁 가능성이 높은 민감한 지역으로 정전협정에 따라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가 관리· 통제하고 있다. 경기도 파주시 만우리에서 인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까지 약 67㎞ 구간에 걸쳐 있다.

한강하구는 이런 특수성 때문에 아직 기초적인 수질조사가 이뤄지지 않았고, 한강수계 관할 자치단체도 인천과 경기도, 서울시 등으로 나뉘어 있어 통합적인 수질·생태계 보전 방안 등이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다.

한강 수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굴포천(인천 부평·계양, 경기 김포·부천 일대를 흐르는 하천)과 같은 한강수계의 경우 수질오염총량제 적용 대상이지만 한강 하구의 경우 서해로 물이 흘러 나간다는 이유로 총량제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인천시는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강하구 공동이용이 가시화 됨에 따라 한강하구에 대한 통합물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인천, 경기, 서울시 등이 체계적인 생태환경 보전 방안을 만들 수 있는 틀을 이번 용역에서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한강하구의 경우 통합관리체계가 없고 지역 특수성으로 수질관리의 사각지대에 있다"며 "용역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