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6.jpg
29일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된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한우 농가 진입로에서 방역 당국 관계자들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해당 농가에서 간이검사 결과를 통해 양성 반응을 확인했고 구제역 여부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28일 안성시 금광면의 젖소농가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해 살처분·방역 작업이 진행 중이다.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안성에서 연이틀 사이에 잇따라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지역내 축산농가들이 '구제역 공포'에 휩싸였다.

29일 시와 축산농가 등에 따르면 28일 금광면 젖소농가에서 신고된 구제역 의심 소들이 양성 판정을 받은데 이어 29일 양성면 한우농가에서도 구제역 의심에 따른 간이시험 결과 1마리가 양성 반응이 나와 동물위생시험소 남부지소에 정밀진단을 의뢰했다.

시는 구제역 확진이 판정된 젖소농가에서 사육 중인 젖소 100여마리에 대해 살처분을 실시하는 한편, 구제역 확산을 저지키 위해 반경 3km 이내 86개 농가에 대한 이동제한조치를 발효했다.

또 시는 통제초소 4개소 설치와 방역차 등을 동원해 해당 농장들의 주변 소독과 주요도로에 생석회 살포 등 방역 활동을 강화하고 나섰다.

하지만 축산인들은 과거 두 차례 대규모 구제역 발생으로 막심한 재산적 피해와 심적 고통을 받아 생긴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떠올리며 '구제역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실제 안성에서는 지난 2002년에 84개 농가 8만903마리, 2011년에는 180농가 21만1천442마리의 우제류가 구제역으로 살처분됐다.

특히 2011년에는 축산농장의 밀집지역인 일죽·삼죽·죽산면 등 3개 지역에서 사육되던 소가 구제역으로 전멸해 씨가 말랐다.

당시 축산인들은 자식처럼 애써 키운 소들을 자신들의 땅에 묻고, 보상 또한 지침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막심한 경제적 피해를 입었었다.

때문에 지역내 축산인들은 당시의 경험을 떠올리며 노심초사 구제역 확산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축산인 김모(57)씨는 "관내 축산인들에게 2002년과 2012년은 다시는 기억하기조차 싫은 '죽음의 해'로 기억하고 있다"며 "돈이 문제가 아니라 자식처럼 키운 소들을 눈 앞에서 중장비 등으로 죽이고 묻는 모습을 또다시 경험하고 싶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