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0601000411500019701.jpg
유은혜 교육부장관. /연합뉴스

교육부가 고교 학점제 연구·선도 학교로 올해 인천 22개교, 경기 77개교를 신규 선정해 지원한다.

교육부는 "교육부차관을 포함한 중앙추진단을 구성하여 정책의 추진 동력을 강화하고, 현장 중심 네트워크 구축, 연구·선도학교 확대, 일반고 학점제 도입 지원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교육부는 오는 2022년 전체 고교를 대상으로 고교 학점제 부분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고교 학점제 연구·선도 학교는 학생 선택형 교육 과정, 맞춤형 학습 관리 과제 등을 운영하고, 지역 특색 사업과 연계해 교육 과정 다양화, 학교 혁신 사례를 발굴하는 역할을 앞으로 3년간 맡게 된다. 연구학교에는 매년 4천만~5천만원, 선도학교에는 매년 2천만~2천500만원이 지원된다.

교육부는 지난해 인천 선인고, 제물포고, 도화기계공고, 마이스터고, 경기 갈매고, 고색고, 위례한빛고, 이우고, 평택고, 경기영상고학고, 고양고, 남양주공고, 삼일공고, 성남금융고, 안양공고 등을 연구학교로 지정해 운영 중이다. 올해 신규 지정된 연구 학교는 인천 백석고, 세원고, 미래생활고, 경기 광남고, 나루고, 봉일천고, 부명고, 운천고, 호평고, 효양고, 물류고, 삼일상업고, 하남경영고 등이다.

또 선도학교를 추가로 선정해 고교 학점제 기반을 조성하기로 했다.

유은혜 부총리는 "새로운 교육으로의 이행은 우리 시대의 중요한 과제로, 고교학점제는 고교 교육 혁신의 출발점이자 우리 교육의 도약을 위한 마중물의 역할을 하리라 생각한다"라며 "교육부, 교육청, 지원기관 등이 밀접하게 협력하여 학교 현장과 함께 제도 도입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국민들이 새로운 제도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보다 희망과 기대를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공감을 얻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


<표>2019년도 인천·경기 지역 고교 학점제 연구·선도 학교 목록
<일반계고>

지역 연구학교 2019년 지정 선도학교
2018년 지정 2019년 지정
인천 선인고, 제물포고 백석고, 인천세원고 가정고, 검단고, 대인고, 명신여고, 박문여고, 부개여고, 부평여고, 송도고, 연수고, 연수여고, 인천공항고, 인천남동고, 인천대건고, 인천신현고, 인천여고, 인천연송고, 인천해송고
경기 갈매고, 고색고, 위례한빛고, 이우고, 평택고 광남고, 나루고, 봉일천고, 부명고, 운천고, 호평고, 효양고 가온고, 구리여고, 권선고, 능동고, 대평고, 덕산고, 마석고, 미사고, 분당영덕여고, 상원고, 상현고, 성남여고, 성복고, 성포고, 세교고, 소명여고, 송산고, 송우고, 송탄고, 수주고, 신봉고, 신장고, 심원고, 안성여고, 안화고, 양명여고, 양서고, 용호고, 운중고, 율면고, 의정부고, 이산고, 이충고, 일산대진고, 저현고, 중원고, 천천고, 태성고, 판곡고, 평촌고, 풍무고, 현화고

 

<직업계고> 

지역 연구학교 2019년 지정 선도학교
2018년 지정 2019년 지정
인천 도화기계공고, 인천마이스터고 인천미래생활고 영화관광경영고, 인천해사고
경기 경기영상과학고, 고양고, 남양주공고, 삼일공고, 성남금융고, 안양공고 경기영상과학고, 고양고, 남양주공고, 삼일공고, 성남금융고, 안양공고 경기자동차과학고, 경민IT고, 경화EB고, 광명경영회계고, 광명공업고, 근명여자정보고,  김포제일공업고, 매향여자정보고, 발안바이오과학고, 부천정보산업고, 성남테크노과학고, 성보경영고, 성일정보고, 세경고, 수원공업고, 수원농생명과학고, 수원하이텍고, 안산국제비즈니스고, 안산디자인문화고, 용인정보고, 일산국제컨벤션고, 평촌경영고, 평택기계공업고, 한국디지털미디어고, 한국애니메이션고(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