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한구석 인두로 지진듯 '아파'
자기중심적 사람 이웃에게 상처만
사랑한것 후회도 괴로워도 마세요
서로 다독여주며 살아가면 되기에

상실은 어떤 대상이 아주 없어지거나 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저는 눈에 보이는 물질을 잃어버리는 것은 상실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전 재산을 잃어도 회복할 수 있다면 상실이 아닙니다. 아끼는 물건을 잃어버리는 것 역시 상실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상실이 아니라 분실입니다.
상실은 보이지 않는 소중한 가치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바로 사랑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평생을 누군가를 아끼고 사랑했는데 그는 나를 전혀 사랑하지 않는 건 물론이고 관심조차 두지 않는 모습을 발견했을 때, 우리는 크나큰 상실감을 경험하게 됩니다. 보이지 않는 가치인 사랑을 잃어버렸기 때문입니다.
육십 대 중반의 어느 어머니 이야기입니다. 이 어머니는 최근 상실의 아픔으로 식사도 못하고 잠도 제대로 못 자면서 눈물로 세월을 보내고 있습니다. 매일 다니던 성당에도 발길을 끊었습니다. 누구보다 아들을 사랑했고 아들 역시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고 굳게 믿었는데, 아들로부터 사랑이 없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버렸기 때문입니다. 어머니는 아들의 사랑을 상실했습니다.
그분은 몇 년 전에 남편과 사별한 뒤 모든 유산을 아들에게 넘기고 작은 아파트로 이사를 했습니다. 매달 아들이 보내주는 소정의 생활비로 풍족하진 않았지만 행복하게 살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생활비가 밀리기 시작했습니다. 기다리다 못한 어머니가 조심스럽게 전화를 하면 아들은 그제야 짜증을 내며 돈을 보내왔습니다. 아들의 형편이 걱정이 돼 연락도 못하고 기다리면, 두 달이 지나서야 보내오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어머니는 아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견뎠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들 부부가 찾아와 이제부터 어머니를 편히 모시고 살겠으니, 살고 있던 어머니의 집을 팔고 살림을 합치자고 했습니다. 어머니는 선뜻 그러자고 허락하고 아들의 집으로 이사했습니다.
하지만 어머니를 편히 모시겠다던 아들 내외는 살림을 합친 뒤 돌변했습니다. 용돈을 주기는커녕, 어머니를 혼자 둔 채 자기 식구들끼리 외식을 하러 나가기도 하고, 해외여행을 가면서도 빈말이라도 함께 가자는 일언반구도 없었습니다. 그저 손주들 뒷바라지만 시켰다고 합니다. 결국 어머니는 아들에게 다시 살림을 나누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랬더니 대뜸 "정신이 나갔느냐", "돈이 어디 있느냐"며 화를 내더라는 겁니다. 아들의 사랑을 잃어버린 어머니는 상실에서 오는 아픔을 도저히 견뎌낼 수 없어 지금까지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어머니는 아들을 사랑했습니다. 그러나 아들은 어머니를 사랑하지 않았습니다. 어머니는 아들도 자신을 사랑하는 줄 믿고 아들의 사랑을 간직하고 살다가 그만 그 사랑을 잃고 말았습니다. 아들의 사랑은 처음부터 없었지만, 어머니 입장에선 상실이 분명합니다.
세상에 사랑보다 더 큰 가치는 없습니다. 사랑보다 재산을 더 탐한 아들의 욕심 때문에 어머니는 깊은 상실을 겪고 말았습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사랑의 가치를 소홀히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 인간은 모두 사랑의 고리로 인연을 맺고 살아갑니다. 부모와 자식 관계는 물론이고 이웃과 친구와 동료에 이르기까지 크기에 차이는 있어도 모두 사랑을 주고받는 관계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맺고 있는 관계를 잘 살펴보면 유독 자기중심적인 사랑에 빠진 사람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런 사람들은 결국 이웃에게 상처를 주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결국 사랑이 많은 사람이 세상을 이기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사랑한 것을 후회하지 마십시오. 상실감으로 괴로워할 필요도 없습니다. 사랑을 재주로 타고난 사람들은 더 많은 사람들을 사랑하면 됩니다. 우리가 사랑할 사람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상실로 괴로워하는 이웃을 사랑으로 서로 다독여주면서 세상에서 가장 빛나는 사람으로 살아가면 됩니다.
/홍창진 천주교 수원교구 기산성당 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