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1801001041000050051
김대현 지역사회부(안산) 차장
안산시가 인구늘리기에 팔을 걷었다. 인구를 늘리기 위해서는 살고 싶고, 머물고 싶은 도시가 돼야 하는데 그에 따른 다양한 정책들을 시 차원에서 시행해 사람들을 끌어모으겠다는 것이다. 안산시는 현재 급격한 인구 감소를 겪고 있다. 지난 1월 기준 안산시 인구는 65만9천963명으로, 인구가 가장 많았던 2011년(71만5천600명)에 비해 5만명 이상 줄었다.

인구감소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전반적인 감소세에 기본적인 의식주의 편리성과 직장, 학교 등의 문제들이 연계돼 작용한다.

이에 따라 안산시는 우선 다양한 출산장려정책을 통해 자연 감소를 막기로 했다. 시는 상반기 중 조례 개정을 통해 첫째아 100만원, 둘째아 이상 300만원의 출산 장려금을 지급한다. 또 산부인과 진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월 2회 택시비를 지원하는 '100원 행복택시' 제도를 운영하기로 했다. 특히 공직사회부터 출산 장려 및 공동육아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선도하기 위해 안산시 남성공무원에게 5일의 산후조리휴가를 주는 등 토요일과 공휴일을 합쳐 최장 21일간 아이와 산모를 돌볼 수 있도록 했다.

보육·교육 정책도 연계해 시행한다. 시는 올해부터 중·고교 신입생 모두에게 교복을 무상으로 지원한다. 교복지원은 안산시에 거주하지만 관외 중·고교를 다니는 학생, 전입생, 외국인 학생 등도 모두 해당된다. 다문화도시답게 외국인 자녀들을 대상으로 누리과정비를 0~5세(기존 3~5세)까지 확대해 전 연령층의 교육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일자리 정책도 다양하게 추진된다. 시는 760억원을 투자해 연내 3만5천개의 일자리를 만들고, 향후 4년간 15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또 국가산단인 안산스마트허브에 국비포함 6천67억원을 투입해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조성, 취업을 통한 자연스러운 인구 유입을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인구를 늘리기 위해 출산과 교육, 일자리 등을 연계한 안산시의 전방위적 노력에 기대감이 든다.

/김대현 지역사회부(안산) 차장 kimd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