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2101001372600065671
김연태 정치2부(서울) 차장
"국민의 촛불이 쓰나미처럼 국회를 향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지난 19일 국회의원 전원에게 보낸 서한 내용이다. 그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등 여야 모두에게 따끔하게 경고했다. 문 의장은 서한에서 "(국회가) 정치를 말할 자격을 스스로 잃고 있다. 국민의 삶과 직결된 시급한 민생법안이 쌓여가는 것은 국회의 직무유기"라면서 "국민의 삶 앞에서는 이유도 조건도 필요 없다"고 질타했다. 문 의장의 발언에 공감한다. 지금 국회 현실이 그렇다. 무엇보다 '민심'이 보이지 않는다.

이달 초 여야는 설 명절 동안 '밥상머리' 민심을 확인했다며 앞다퉈 경제를 살리겠다고 공언했지만, 불과 한 달도 지나지 않아 경제는 다시 뒷전으로 밀린 모양새다. 아니, 경제는 실종됐다. 여야가 다투는 정치 현안 어디에서도 민생 경제는 찾아볼 수 없다. 여야 간 '대치'와 '갈등', '난타전', '공방'만 있다. 1월 임시국회가 그렇게 빈손으로 지나갔고, 2월 임시국회도 그렇게 지나가고 있다.

국회가 민생 경제에 등을 돌린 사이 국회 밖 서민들의 한숨은 점점 짙어지고 있다. 개인 화물로 생계를 잇는 한 가장은 예년과 달리 차를 몰고 나가도 마땅한 일감을 찾지 못해 수익이 반으로 줄었다고 하소연이다. 미용용품 영업사원은 미용실에 제품을 공급해도 수금이 어려워 은행 빚만 늘고 있다고 고충을 전한다. 호프 집을 운영하는 40대 자영업자는 손님이 줄어 늘 월세 걱정에 시름이 깊다. 이들 입에선 당연히 우리나라 경제상황에 대한 불만이 쏟아진다. 공통된 발언에는 '국회'가 포함된다. TV 뉴스에서 국회 꼴은 보기도 싫단다. 내가 뽑은 국회의원이 싸움의 선봉에 선 모습을 볼 때면 복장이 터진단다. 그런데도 국회는 이런 소리가 들리지 않는가 보다. 아니, 듣고도 모른 척하거나 아예 듣지 않는 모양이다. 그래서 국회의원들께 다시 간곡히 요청드린다. "민심, 다시 듣고 오시라."

/김연태 정치2부(서울) 차장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