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2501001659700079951.jpg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2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치원 공공성 강화를 위한 관계부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한승희 국세청장, 임호선 경찰청 차장, 유은혜 부총리, 시도교육감협의회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연합뉴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개학을 연기하는 유치원이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 주장과 달리 2200곳이 아니라 전국에 164곳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교육재난시설공제회관에서 열린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추진단' 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이 중 97곳은 자체 돌봄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한유총은 전날 개학 연기를 선언하며 회원사 3천100여곳 중 60% 정도가 참여할 것이라고 밝혀 2천여곳 안팎이 참여할 것으로 관측됐다.

그는 "전화 연결 등이 되지 않아 아직 확인되지 않은 유치원은 30% 정도"라면서 "해당 유치원까지 정확히 확인해 교육청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유 부총리는 "교육청들은 홈페이지를 통해 돌봄신청 수요를 접수 받고 있다"면서 "입학일 연기를 통보받은 학부모들이 유치원 고충·비리 신고센터에 신고하면 즉각 확인해 현장지원단 조치로 어려움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유 부총리는 "불법 행위 유치원에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며 "준법투쟁 주장은 유아교육자의 본분을 저버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강보한기자 kb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