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병헌 감독의 코미디 영화 '극한직업'이 '명량'을 제치고 역대 개봉작 가운데 매출액 1위에 올라섰다. 제작비의 14배에 달하는 '돈방석'에 앉는 흥행 신화를 쓴 것이다.
2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극한직업'의 매출액은 1일까지 1천359억 5천만원을 기록했다. 종전 역대 1위인 '명량'의 매출액 1천357억5천만원을 2억원 뛰어 넘어 국내 개봉영화 1위 기록을 깼다.
'극한직업'의 누적 관객 수는 1천583만명으로 '명량'(1천761만명)에 아직 미치지 못하지만, 극장 평균 요금이 오른 덕에 매출액에서는 '명량'을 추월했다. 한국영화 평균 관람요금은 2014년 7천619원에서 지난해 8천286원으로 올랐다.
'극한직업'은 총제작비가 95억원으로, 현재까지 매출로 계산하면 매출액이 제작비의 '14배'에 달한다. 수익률로 따질 때 그야말로 '가성비 갑'이다. '명량'은 총 190억원의 제작비를 들여 7배가량의 매출을 올렸다. 역대 1천만명을 넘은 영화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린 작품은 '7번방의 선물'로 알려져 있다. 총제작비 58억원의 15배에 달하는 914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극한직업'은 개봉 6주 차에도 박스오피스 4위를 기록하며 여전히 관객을 끌어들이고 있어 매출액이 더 늘어나면 '7번방의 선물'을 뛰어넘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2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극한직업'의 매출액은 1일까지 1천359억 5천만원을 기록했다. 종전 역대 1위인 '명량'의 매출액 1천357억5천만원을 2억원 뛰어 넘어 국내 개봉영화 1위 기록을 깼다.
'극한직업'의 누적 관객 수는 1천583만명으로 '명량'(1천761만명)에 아직 미치지 못하지만, 극장 평균 요금이 오른 덕에 매출액에서는 '명량'을 추월했다. 한국영화 평균 관람요금은 2014년 7천619원에서 지난해 8천286원으로 올랐다.
'극한직업'은 총제작비가 95억원으로, 현재까지 매출로 계산하면 매출액이 제작비의 '14배'에 달한다. 수익률로 따질 때 그야말로 '가성비 갑'이다. '명량'은 총 190억원의 제작비를 들여 7배가량의 매출을 올렸다. 역대 1천만명을 넘은 영화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린 작품은 '7번방의 선물'로 알려져 있다. 총제작비 58억원의 15배에 달하는 914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극한직업'은 개봉 6주 차에도 박스오피스 4위를 기록하며 여전히 관객을 끌어들이고 있어 매출액이 더 늘어나면 '7번방의 선물'을 뛰어넘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