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를 구성하는 4개 단지 가운데 하나인 도시첨단산업단지가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와 광명시·시흥시는 광명시 가학동, 시흥시 논곡동·무지내동 일원 242만㎡ 부지에 오는 2023년까지 2조4천여원을 투입해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를 조성한다.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는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유통단지, 배후주거단지 등 4개 단지로 구성되는데, 이 중 핵심 사업인 도시첨단산업단지가 가장 어려운 과정 중 하나인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도시첨단산업단지는 경기도시공사가 4천536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광명시 가학동, 시흥시 논곡동 일원 49만4천㎡ 부지에 조성하는 산업단지다.
2022년 조성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지식기반 서비스업과 첨단 제조업 등 미래형 유망산업은 물론 기계, 자동차 부품 등 핵심 기반산업 관련 기업들이 유치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곳에 공공임대단지를 조성해 저렴한 임대료로 창업을 유도하고 광명시흥 지역 영세 중소기업이 스마트 공장으로 변모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와 광명시·시흥시는 광명시 가학동, 시흥시 논곡동·무지내동 일원 242만㎡ 부지에 오는 2023년까지 2조4천여원을 투입해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를 조성한다.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는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유통단지, 배후주거단지 등 4개 단지로 구성되는데, 이 중 핵심 사업인 도시첨단산업단지가 가장 어려운 과정 중 하나인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도시첨단산업단지는 경기도시공사가 4천536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광명시 가학동, 시흥시 논곡동 일원 49만4천㎡ 부지에 조성하는 산업단지다.
2022년 조성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지식기반 서비스업과 첨단 제조업 등 미래형 유망산업은 물론 기계, 자동차 부품 등 핵심 기반산업 관련 기업들이 유치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곳에 공공임대단지를 조성해 저렴한 임대료로 창업을 유도하고 광명시흥 지역 영세 중소기업이 스마트 공장으로 변모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