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31001000757400036121
민웅기 지역사회부(안성) 차장
올해는 3·1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 되는 해다. 이에 정부와 각 지자체들은 당시 민초들의 숭고한 희생과 저항정신을 기리기 위해 전국 방방곡곡에서 지난 3월 1일에 일제히 거창한 행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역사학계에서 '대한민국 3·1운동의 성지 중 성지'로 인정받고 있는 안성의 본격적인 3·1운동 기림행사는 아직 시작도 안 했다. 이유는 역사학계에서는 유명하지만 대중에게는 아직 널리 알려지지 못한 안성 3·1운동의 특수성 때문이다. 안성은 역사학계에서 인정한 '3·1운동 3대 실력항쟁지' 중 유일하게 남한에 위치한 지역이다.

안성의 3·1운동은 통신이 발달하지 못해 대도시보다 열흘 늦은 3월 11일부터 본격적인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됐다. 안성에서는 6천명 이상의 민초들이 원곡과 양성, 죽산면, 안성시장 등지에서 수십 차례 격렬한 독립만세운동을 펼쳤다. 특히 원곡과 양성지역에서는 주민 2천여 명이 면사무소 앞에 집결, 횃불을 들고 만세고개를 넘어 양성면으로 행진한 뒤 면사무소와 지금의 파출소인 주재소를 둘러싸고 만세시위를 벌인 결과 이 지역에 있는 모든 일본인들을 타 도시로 내쫓는 성과를 이뤄냈다. 한마디로 원곡·양성지역은 4월 1일과 2일 이틀에 걸쳐 우리나라 역사에 길이 남을 '2일간의 해방'을 맞이한 것이다. 이로 인해 안성의 3·1운동은 평안북도 의주군과 황해도 수안군과 함께 3·1운동 3대 실력항쟁지로 평가받음은 물론 민족대표 33인의 재판과정에서도 인용될 만큼 역사적으로도 고증된 독립운동의 성지다. 때문에 안성시는 3·1운동이 일어난 3월 1일이 아닌 4월 1일에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올해도 시는 다음 달 1일에 개최되는 '안성 4·1만세 항쟁 기념 2일간의 해방' 행사 준비에 여념이 없다. 시는 성대하고 알찬 기념식을 준비해 기대를 한껏 받고 있다. 3·1운동은 한 지역에 국한된 그들만의 행사가 아닌 국가적 차원에서 널리 알려야 하는 만큼 경기도민과 안성시민들만이 아닌 국민 모두가 '안성 4·1만세 항쟁 기념 2일간의 해방'을 지켜보고 응원해주길 기대한다.

/민웅기 지역사회부(안성) 차장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