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제2 경춘국도 정부 노선 안(미확정)을 두고 가평군과 춘천시가 각각의 노선을 제시하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가평지역에는 또 다른 노선 안이 거론되면서 지역 간 갈등의 조짐마저 일고 있다. 예타 면제 발표 직후 가평군 의회는 임시회에서 "노선의 약 80% 이상이 가평을 지나는 만큼 가평군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일방적 노선 결정은 부당하다"며 '제2 경춘국도 노선 가평군 제시(안) 관철 촉구 결의문'을 채택했다.
가평군도 기존 상권 보호 및 지역균형발전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남양주 금남IC~청평~하천~상색~가평~춘천 당림리로 연결하는 32㎞의 노선 안을 내놨다. 이런 가운데 조종면·상면 주민 등으로 구성된 '가칭 제2 경춘국도 바른 안을 위한 대책위원회'는 수동 IC~조종면 현리~가평읍 마장리~ 춘천 당림리를 연결하는 노선(안)의 의견서를 최근 원주지방국토관리청에 전달했다. 이처럼 가평지역사회는 대체로 정부 노선(안)에는 반대 의견으로 한목소리를 내고는 있지만, 정작 가평군 노선(안)을 두고는 이견을 보이고 있는 등 지역 내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혹 이러한 이견이 자칫 소모적 대립으로 번질 경우 지역 내 갈등과 분열은 불을 보듯 뻔하다. 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이제라도 가평군은 집행부, 의회, 주민 등이 참여하는 대표 협의체를 구성하고 하향식(top-down) 방식이 아닌 상향식(down-top)으로 대안을 마련하는 등 생산적 갈등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김민수 지역사회부(가평) 차장 kms@kyeongin.com